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영재교육이 힘든 215가지 이유

등록 2008-10-29 19:01

일선교사들, 시설·예산·전문성 부족 등 꼽아
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교사들은 영재교육을 위한 시설과 예산 지원이 부족하고 충분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지 못하는 현실을 큰 어려움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봉우 단국대 교수(과학교육) 등 연구팀은 과학 영재교육을 하고 있거나 준비 중인 초·중등 교사 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여 현장 교사들이 말하는 215가지 어려움 사례들을 분석하는 논문을 국내 학술지 <초등과학교육> 최신호에 발표했다.

논문을 보면, 교사들은 교사 자신의 영재교육 전문성 부족과 지나치게 많은 업무량 등 교사로서 겪는 어려움들을 가장 많은 128건(59.5%)이나 지적했다. 시설·예산 지원 부족이나 학교장·동료 교사의 이해 부족 같은 환경 탓으로 겪는 어려움은 23.7%(51건)를 차지했고, 학생의 영재성 여부와 열의 부족처럼 학생들한테서 생기는 어려움도 16.7%(36건)에 이르렀다.

교사들은 “영재들을 어떻게 교육해야 할지 방법을 잘 모른다”, “일반 수업을 하면서 영재교육까지 하려니 바쁘고 창의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어렵다”, “다른 학교의 과학실을 빌려 쓰다 보니 충분한 교육을 하기 어렵다” 등 교육 여건의 어려움들을 많이 지적했다.

또 “경시대회 입상 같은 성과를 내야 하는 부담이 크다”, “학생과 학부모 모두 영재교육을 상급학교 진학의 발판으로 삼는 경향이 있다”, “문제풀이로 실력을 쌓은 학생이 학원에서 영재로 길러진다” 등 영재교육에 대한 잘못된 인식 탓으로 생기는 어려움들도 털어놓았다.

이 교수는 “서울은 물론이고 지방에서도 영재교육 프로그램들이 계속 늘어나면서 학생들의 열의도 떨어지는데다 준비된 교사가 부족하고 영재교육에 대한 별도의 지원도 늘지 않아 영재교육의 질이 하락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오철우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