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이용한 질병연구 및 약물개발방법 개발의 함의

등록 2008-12-29 19:06

과학향기
유전병인 척수성 근육위축증(spinal muscular atrophy, SMA)을 앓고 있는 환자의 피부세포를 재프로그램하여 줄기세포로 전환시킴으로써 새로운 질병모델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는 질병과정을 이해하고 약물 개발을 위해 줄기세포를 창출하고 사용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최근 연구자들은 치명적인 유전병인 척수성 근육위축증에 걸린 환자의 피부조직을 떼어내 이를 인위적으로 역분화과정을 통해 줄기세포를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 이것은 처음으로 질병에 걸린 신경세포를 줄기세포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낸 첫 번째 사례로, 지금까지 동물실험모델로 재현되지 않았던 질병을 연구하고 효과적인 약물을 개발하는데 새로운 실험모델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iPS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똑같은 기능을 하지만 배아를 사용할 필요가 없이 실험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출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향기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