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 홍승철·정종현 교수팀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수면클리닉 홍승철ㆍ정종현 교수팀은 미국 스탠퍼드대학, 일본 도쿄대학 연구팀과 공동으로 낮 동안에 과도한 졸음을 유발하는 `기면병'의 원인 유전자를 규명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해 11월 발간된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네틱스(Nature genetics)에 실렸다.
기면병은 낮 시간에 지나치게 졸린 게 가장 큰 특징으로, 충분히 잠을 자도 해소되지 않는다. 현재까지 완전한 치료법은 없지만, 졸음을 막는 적절한 약물치료를 하면 정상에 가까운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게 의료진의 설명이다.
이 질환은 뇌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하이포크레틴(hypocretin)'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의 부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두 개의 유전자(HLA-DRB1*1501, HLA-DQB1*0602)가 기면병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에 한.미.일 3개국에서 811명의 기면병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유독 한국과 일본의 기면병 환자에서 `rs5770917'이라는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변형돼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이런 변형이 있을 때 하이포크레틴의 활성도가 떨어지면서 기면병 발생률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다는 게 연구팀의 주장이다.
홍승철 교수는 "현재의 기면병 치료법은 기면병 자체를 치료하기 보다는 단순히 졸음과 관련된 증상을 조절하는 데 그쳤다"면서 "하이포크레틴 결핍과 관련된 유전자를 추가로 밝힘으로써 새로운 기면병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ttp://blog.yonhapnews.co.kr/scoopkim 김길원 기자 bio@yna.co.kr (서울=연합뉴스)
http://blog.yonhapnews.co.kr/scoopkim 김길원 기자 bio@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