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병희 성균관대 교수.
홍병희 교수·최재영 박사 공동
실리콘을 대체할 나노 신소재 가운데 하나로 주목받는 ‘그래핀’을 넓은 면적으로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돼, 휘는 디스플레이나 입는 컴퓨터의 실현에 한발 더 다가섰다.
성균관대 성균나노과학기술원 홍병희 교수(왼쪽·화학) 연구팀과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최재영(오른쪽) 박사 연구팀은 14일 “반도체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넓은 면적의 그래핀’ 합성 기술과 이를 이용한 회로 구성 기술을 처음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 과학저널 <네이처>의 15일치 온라인판에 실린다.
그래핀은 탄소끼리 연결돼 벌집 모양의 평면 구조를 이룬 물질로서 두께가 원자 한 층에 불과한데도 안정된 구조를 이루며 전기적 성질도 뛰어나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빠르게 전자를 옮기는 신소재로 기대를 모아 왔다.
연구팀은 “그래핀을 큰 면적으로 만드는 게 어려워 그동안 응용 개발이 제약됐는데 이번에 ‘화학 증기 증착’이라는 방법을 써서 그래핀을 넓은 면적으로 만들 수 있음을 입증했다”며 “접거나 잡아당겨도 전도 특성을 유지하는 신축성 전극이나 트랜지스터를 만드는 데 쓸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가 그래핀 나노소자 기술의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한겨레 관련기사]
▶ 한 청장, ‘MB 형제’ 지인들과 ‘가명 골프’
▶국세청장도 머리 조아린 ‘포항의 힘’
▶백악기 공룡 트리케라톱스 화석 국내 첫 발견
▶‘화려한 휴가’ “730만 관객 끌고 빚더미” 울분
▶송도신항 4월 착공…인천항 대체효과 ‘신기루’
▶애매모호 의사표현 그녀, 날 좋아할까
최재영 박사.
▶ 한 청장, ‘MB 형제’ 지인들과 ‘가명 골프’
▶국세청장도 머리 조아린 ‘포항의 힘’
▶백악기 공룡 트리케라톱스 화석 국내 첫 발견
▶‘화려한 휴가’ “730만 관객 끌고 빚더미” 울분
▶송도신항 4월 착공…인천항 대체효과 ‘신기루’
▶애매모호 의사표현 그녀, 날 좋아할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