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역사 속 3월 과학사엔 어떤 일이

등록 2009-03-02 17:41

과학향기
■ 1969년 3월 2일 콩코드기 시험비행 성공

프랑스 남부 툴루즈 아에로스파시알사 활주로에서 이륙한 콩코드기가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같은 해 10월 1일, 콩코드가 시험비행 45번째 만에 초음속비행에 성공했다. 영국과 프랑스가 공동개발한 콩코드기는 25년간 가장 빠르고 안전한 여객기로 평가받아왔으나 2000년 7월 25일 파리 북부지역에 추락하여 1백여 명이 사망한 사건으로 안정성 논란에 휩싸였다.

■ 1982년 3월 10일 태양계 9개 행성 일직선 배열

이날 태양계 9개 행성이 일직선으로 배열하는 기현상이 발생했다. 태양계를 구성하는 행성들이 이처럼 일직선으로 배열하는 현상을 ‘그랜드 얼라인먼트(Grand Alignment)’라고 한다. 2000년 5월에는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이 일직선으로 배열하는 그랜드 얼라인먼트 현상이 일어나 서쪽 하늘에서 동시에 5개 행성을 모두 볼 수 있었다.

■ 1876년 3월 10일 그레이엄 벨, 세계최초 전화실험 성공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Alexander Graham Bell)이 세계최초로 전화실험에 성공했다. 1847년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태어난 그는 1870년에 미국으로 이민하고 26세 때 보스턴대학 발성생리학과 교수가 되었다. 농아 교사였던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소리를 전달하는 기기를 개발하는 데 전념한 결과 전화기 발명에 성공하였다.


■ 1521년 3월 15일 마젤란, 필리핀 발견

인류 최초 세계 일주 항해의 지휘자였던 스페인 탐험가 페르디난드 마젤란(Ferdinand Magellan)이 1519년 8월 10일 세계 일주를 시작한 지 1년 6개월 만에 필리핀을 발견했다. 마젤란은 필리핀 레이테만의 즈르안섬에 도착한 후 원주민과 우호관계를 맺었다. 그러나 4월 27일 그는 준비가 덜 된 채로 막탄섬을 공격하다가 전사했다.

■ 1965년 3월 18일 알렉세이 레오노프, 세계최초 우주유영 성공

소련의 우주비행사 알렉세이 레오노프(Alexei A. Leonov)가 이날 오전 10시에 세계최초로 우주유영에 성공했다. 그는 보스코드 2호가 소련의 상공을 지날 때 우주선을 떠나 우주공간에서 약 12분간 머물렀다. 우주복을 입고 4.6m 길이의 밧줄로 우주선과 연결된 채로 우주유영을 하는 그의 모습은 우주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1543년 3월 20일 코페르니쿠스, 지동설 발표

폴란드의 천문학자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라 기존의 천동설을 뒤엎고 지동설을 발표했다. 16세기 당시에는 종교적인 보복이 두려워 새 학설이 나와도 발표하기를 꺼렸기 때문에 그의 지동설 발표는 더욱 화제가 되었다. 그의 지동설은 교회의 거센 비판을 받았으나 이후 갈릴레이, 케플러, 뉴턴의 발견으로 완전히 확립되었다.

■ 1882년 3월 24일 코호, 결핵균 발견 발표

독일의 세균학자 로베르트 코호(Robert Koch)가 이날 결핵균의 발견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이외에도 콜레라균과 탄저병균 등도 발견하였고 튜버클린을 발명하였다. 또한 세균이 전염병의 원인이라는 미생물설을 확립했고 세균의 배양과 염색 및 고정법을 개발하였다. 그의 이러한 여러 발견, 발명, 개발은 미생물학의 발달에 큰 기여를 했다.

■ 2000년 3월 31일 홍완기 박사, 미국 암연구학회 회장에 선출

당시 미국 텍사스 MD앤더슨 암전문병원 두경부-흉부 종양내과 과장이었던 한국인 의학자 홍완기 박사가 미국 암연구학회 회장에 선출되었다. 1907년에 창설된 미국 암연구학회는 전 세계 1만 5천여 명의 암 전문가가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최고 권위의 암연구학회이다. 홍 박사는 암의 전이와 재발을 막는 항암예방요법을 개발해 그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과학향기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