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싱가포르보다 큰 얼음 무너져

등록 2009-05-06 17:04

과학향기
남극에서 싱가포르보다 큰 얼음덩어리가 무너진 것으로 지난달 28일 확인됐다. 이날 노르웨이 트롬쇠에서 열린 기후변화회의에 참석한 과학자들은 무려 700㎢에 달하는 면적의 빙붕(氷棚)이 붕괴됐다고 밝혔다. 빙붕은 남극대륙과 이어져 바다에 떠 있는 300~900m 두께의 얼음덩어리. 빙붕이 떨어져 나가 빙산이 형성된다. 남극 전체 얼음 면적의 10%가 빙붕으로 이뤄져 있지만 최근 지구온난화로 점점 녹아 수천 개의 빙산으로 떨어져 나가고 있다. 지난달 빙붕의 붕괴 역시 지구온난화 때문인 것으로 과학자들은 보고 있다. 지난 50년간 남극의 기온은 2.5도나 높아졌다. 세계 평균과 비교해 약 6배 높은 수치다. 이날 회의에서는 유럽항공우주국(ESA)의 지구환경관측위성이 관측한 결과 800~3000㎢의 빙붕이 더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과학향기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