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비행기 블랙박스가 검정색이 아닌 이유

등록 2009-07-03 17:16

과학향기
비행기가 추락해도 블랙박스가 남아있는 이유는 재질이 단단하고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블랙박스는 보통 합금 또는 플라스틱류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합금은 순수한 금속보다 연성과 강도가 뛰어난 것을 쓴다. 이 덕분에 블랙박사는 자체무게의 3400배 정도를 견딜 수 있으며 섭씨 1100도나 되는 고온에서도 30분 정도 견딜 수 있다. 또 심해저이높은 압력도 한 달 가량 견딜 수 있는 있다.

블랙박스라고 하면 모든 조종기록을 저자하는 비행기록장치(FDR)를 나타내는데, 보통 비행기의 꼬리 부분에 설치된다. 이 곳에 설치되는 이유는 비행기 사고가 났을 때 충격을 가장 적게 받는 부분이기 때문. 블랙박스는 멀리서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형광 주황색으로 만들어지며, 사고가나면 항상 35.7kHz의 전파를 내보내도록 돼 있어 추적이 가능하다. 비행기에는 블랙박스 이외에도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도 있어서 사고가 나기 직전 어떤 대화를 했는지도 분석할 수 있다. 둘 중 하나라도 찾을 수 있도록 FDR과 CVR은 비행기의 각기 다른 곳에 설치한다.

과학향기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