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물에 젖은 책을 말려도 쭈글쭈글한 이유

등록 2009-07-31 17:19

과학향기
종이는 매끈하고 촘촘해 보이지만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그물처럼 연결된 분자들 사이에 빈 공간이 많다. 종이를 구성하는 분자들이 서로 끌어당기며 구조를 유지하는데, 이 힘이 그렇게 크지 않기 때문에 종이가 쉽게 찢어지는 것이다. 종이가 물에 넞으면 물 분자가 종이를 구성하는 분자들 사이의 빈 공간에 끼어들며 결합을 끊게 된다. 그래서 처음 구조가 흐트러진 종이는 다시 말린다고 해도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쭈글쭈글해진다.

종이가 쭈글쭈글해 지는 또 다른 이유는 종이를 구성하는 물질 중 일부가 물에 녹아 사라지기 때문이다. 종이는 풀이나 젤라틴과 같은 성분이 있고, 이 물질들은 종이를 만들 때 사이에 끼어들어 일정 공간을 차지한다. 종이가 물에 젖으면 이런 성분들이 물에 녹으면서 부피가 줄고, 모양에 변화가 생긴다.

과학향기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