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는 10일 백령도 물범바위에서 잔점박이물범 서식 현황을 조사하다 백상아리가 잔점박이물범을 공격하는 장면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포착, 촬영했다고 19일 밝혔다.
백상아리는 전 세계 아열대, 온대, 아한대 연안에 분포하며 최대 6m 까지 자라는 대형 상어다. 주로 다랑어 같은 대형 어류, 돌고래류, 물범류나 바다사자류, 바다거북류 등을 잡아먹으며 가끔 사람을 공격하기도 한다.
바다의 난폭한 포식자로 알려진 백상아리가 9일에도 인천 을왕리 해수욕장에서 발견되는 등 올해에만 전국에서 4마리가 관찰돼 해녀와 어업인, 피서객들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수산과학원은 2005년에도 백상아리가 나타나 물범을 잡아먹는 모습을 봤다는 백령도 주민들의 말에 따라 백령도 주변 해역이 백상아리의 일시적인 사냥터인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공격 장면 포착으로 백상아리가 잔점박이물범의 상위 포식자라는 사실도 확인됐다. 지금까지는 여러 문헌과 목격담에 의해 서해 잔점박이물범의 포식자가 범고래와 백상아리일 것으로 추측됐다.
해외 연구자들은 백상아리가 사람을 공격하는 것은 사람을 자신이 좋아하는 먹이는 물범이나 바다사자로 잘못 보고 공격하는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바다에서도 최근 백상아리나 귀상어 등 공격적인 상어가 자주 나타나고 있어 피서철 해수욕객이나 어업인들은 상어의 공격을 받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잔점박이물범은 천연기념물이자 보호대상 해양동물로, 백상아리도 세계자연보존연맹(IUCN)의 보호대상종으로 지정돼 있다. 고래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촬영자료가 백상아리 뿐 아니라 잔점박이물범의 생태를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수희 기자 osh9981@yna.co.kr (부산=연합뉴스)
잔점박이물범은 천연기념물이자 보호대상 해양동물로, 백상아리도 세계자연보존연맹(IUCN)의 보호대상종으로 지정돼 있다. 고래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촬영자료가 백상아리 뿐 아니라 잔점박이물범의 생태를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수희 기자 osh9981@yna.co.kr (부산=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