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환호 1시간 뒤 순식간에 싸늘 “실패했다고요?”

등록 2009-08-25 19:07수정 2009-08-25 19:25

대한민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I)가 25일 발사에 성공했으나 정상궤도 진입에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과학기술부 안병만 장관은 이날 나로우주센터 브리핑에서 나로호와 과학기술위성 2호가 예정보다 36㎞ 높은 고도 342㎞에서 분리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대한민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I)가 25일 발사에 성공했으나 정상궤도 진입에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과학기술부 안병만 장관은 이날 나로우주센터 브리핑에서 나로호와 과학기술위성 2호가 예정보다 36㎞ 높은 고도 342㎞에서 분리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넘어야 할 벽이자 밑거름이 될 것” 애써 위로
"실패했다니, 성공한 것 아니었습니까?"

교육과학기술부는 나로호 정상궤도 진입이 부분실패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조금 전까지도 환희에 차 있었던 청사가 돌연 적막에 휩싸였다.

25일 나로호 발사 전 오후 4시30분께 서울 세종로 교육과학기술부 청사 16층 중회의실에는 이주호 제1차관을 비롯한 교과부 직원 50명이 모여 발사순간을 기다리고 있었다.

예정된 오후 5시 나로호가 3천℃의 불꽃을 내뿜으며 솟구쳐 오르자 이들은 일제히 박수를 치며 환호했다.

이 차관은 '나로호가 위성궤도에 진입했다'는 뉴스까지 확인하고서야 30분 뒤 청와대에서 열리는 국무회의 참석을 위해 자리를 떠났다.

나로호 발사 후 1시간여가 흐른 오후 6시5분까지도 직원들은 얼굴에 붉은 홍조가 띨 만큼 기쁨에 어쩔 줄 몰라했다.

17층 홍보담당관실에는 직원들이 사무실 내 TV 앞에 서서 나로호 발사순간을 되풀이해서 방영하는 장면에서 눈을 뗄 줄 몰랐다.

한 직원은 감격에 차 인터뷰 요청에 쑥스러워하면서도 "오늘 교회 새벽기도에 나가 나로호 발사성공을 염원했는데 나로호 발사 순간을 보면서 너무 기뻤다"고 귀띔하기도 했다.


올해 3월까지 나로호 개발을 담당했던 이기성 원자력방재팀장은 "지금 아무나 붙들고 나로호의 성공을 자랑하고 싶을 정도로 들떠 있다"고 벅차 했다.

그러나 이날 오후 6시7분 '나로호 정상궤도 진입실패'라는 뉴스가 전해지자 분위기는 급반전했다.

홍보담당관실은 반전된 뉴스를 순간 믿지 못해 하다 정확한 현장상황을 확인하느라 연이어 전화를 걸고, 보고하느라 분주했다.

교과부 한 관계자는 "지금으로서는 뭐라고 할 수는 없지만 전체적으로 성공한 것 같고 다만 궤도진입이 부분적으로 실패한 것 같다"며 "이 부분은 우리가 앞으로 과학위성을 발사하는 데 넘어야 할 벽이자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애써 위로했다.

■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장관 문답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25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간담회를 갖고 "현재 감지 결과에 의하면 과학위성이 목표궤도에 정확히 올려보내지진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또 "현재 정확한 원인 규명을 위해 한러 공동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조사에 착수할 것"이라며 "정부 차원의 조사도 병행해 원인이 밝혀지는 대로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번 개발을 통해 우리 땅에 우리 손으로 발사장을 지었고 설계부터 운용까지 모든 과정을 경험했다"며 "목표궤도에 진입하지 못하더라도 이 역시 우리에게 소중한 기술로 돌아와 온전한 성공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위성이 목표궤도에 못 들어간 것은 예상과 어떤 부분에서 차이가 난 결과인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주진 원장) 데이터를 분석중으로,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

--위성은 잃어버린 것인지, 자체 추진체로 다시 움직일 수 없나

▲(이 원장)위성은 자체 추진체가 없다. 잃어버렸다는 표현을 하기엔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

--조사 결과 발표는 언제 할 것인가

▲(이 원장)한러 공동조사위원회가 데이터를 분석중이지만 정확한 시간을 말하긴 곤란하다.

--어디까지 성공한 것인가

▲발사체 1단 발사와 2단 분리 및 점화 등 부분은 모두 성공했다. 다시 말해 발사체가 우주 궤도에 도달하는 것까지는 성공했다는 의미다. 이후 위성이 분리돼 목표궤도에 진입하는 부분이 불분명해서 조사중이다.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이 원장)분석이 필요하다.

--위성이 궤도를 아예 벗어난 것인가, 아니면 못 찾고 있는 것인가

▲(이 원장)변수가 많아 아직까지 단언할 수 없다.

--러시아측에서는 무엇이라 평가하고 있나

▲(이 원장)러시아측과 공유한 부분은 발사체 1, 2단의 성공적인 분리 및 점화까지다. 이후 과정에 대해서는 분석이 필요해 아직 평가할 단계가 아니다.

--발사체 1단 낙하는 예상대로 진행됐나

▲예상대로 필리핀 해역 500㎞, 우리나라로부터 2천700㎞ 지점에 낙하했다.

--외국 사례를 참고한다면 부분 성공 또는 부분 실패 중 어느 것으로 봐야하나

▲(이 원장)처음이다보니 완전한 데이터를 얻지는 못하고 있으며,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고 있다. 부분 성공이라 볼 수 있지만 정확한 데이터 분석이 필요하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