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 발사 실패때 알고도 은폐 의혹…위성 추락한듯
* 페어링 : 위성보호덮개
* 페어링 : 위성보호덮개
한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Ⅰ)가 쏘아올린 과학기술위성 2호는 우주공간에 얼마 머물지 못하고 지상으로 추락한 것으로 추정됐다. 또 위성의 목표 궤도 진입 실패는 위성을 싸고 있는 위성보호덮개(페어링)의 한쪽이 제때 분리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발사상황관리위원회(위원장 김중현 교육과학기술부 2차관)는 페어링 분리에서 문제가 생겼음을 알았으면서도, 발사 직후 ‘분리 실패’를 일부러 뺀 채 발표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일고 있다.
김중현 차관은 26일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연 중간조사결과 브리핑에서 “나로호 발사 과정에서 1단·2단 분리, 위성 분리는 성공했으나 페어링 분리에서 이상이 발생해 궤도 진입에는 실패했다”며 “위성은 지구로 낙하하면서 대기권에서 소멸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런 발표 내용은 전날 발사 뒤에 ‘페어링 분리’가 완료됐다고 밝힌 것과는 다르다. 당일 상황판에는 ‘페어링 분리’가 제때 이뤄졌음을 알리는 신호가 들어오지 않았다는 사실이 26일 확인됐다. 교과부 관계자는 “분리 실패가 최종 확인된 게 아니라 발표하지 않았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한-러 공동조사에서는 위성보호덮개 두 쪽 가운데 한쪽이 2단 킥모터에서 분리되지 않은 게 궤도 진입 실패의 주요 원인이었던 것으로 지목됐다. 위성은 최대 고도 387㎞까지 이른 뒤에는 다시 지상으로 낙하한 것으로 추정됐다.
교과부 관계자는 “확인되지 않은 물체가 오스트레일리아 다윈시 부근에 떨어졌다는 연락을 받았으며 킥모터 내열재가 대기권에서 안 타고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교과부는 정부 차원의 나로호 발사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28일 첫 회의를 열 계획이다. 고흥/김민경,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