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새들도 자기 분수를 안다

등록 2009-10-14 16:11

과학향기
못난 암컷 새는 잘난 수컷이 있더라도 볼품없이 못난 수컷을 짝으로 선택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반적으로 동물은 잘난 짝을 만나려 노력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분수를 아는 새의 행동이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 연구진은 얼룩무늬금화조를 새끼 때부터 두 그룹으로 나눠 키웠다. 한 그룹은 2~3마리씩 짝지어 모이를 놓고 싸울 필요가 없는 유복한 환경에서 키웠고, 다른 그룹은 5~6마리씩 무리지어 모이를 놓고 싸우는 척박한 환경을 만들었다. 유복한 환경의 수컷은 몸집도 크고 노래도 잘 불렀지만 척박한 환경에선 암수컷이 모두 못나게 자랐다.

연구진은 이렇게 키운 암컷 24마리를 새장 안에 넣고 잘난 수컷과 못난 수컷의 노랫소리를 들려주면서 새장 속의 빨간 단추 2개 중 어느 쪽을 누르는지를 관찰한 결과 잘난 암컷은 잘난 수컷을, 못난 암컷은 못난 수컷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암컷을 수컷과 한 우리에 넣어 짝짓기를 시켜 봐도 잘난 암수끼리, 못난 암수끼리 짝을 이룰 때 더 빨리 교미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못난 암컷과 잘난 수컷을 한 우리에 넣어 주면 교미하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렸다.

끼리끼리 만나려는 얼룩무늬금화조 암컷의 이런 행동에 대해 연구진은 “과분한 수컷을 만나면 더 잘난 암컷에게로 수컷이 도망가 ‘이혼’하게 되는 사태를 암컷이 두려워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한편 못난 암컷이 잘난 수컷과 교미를 하면 더 큰 알을 낳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분한 수컷을 맞이한 암컷이 알에 더 큰 노력을 쏟기 때문으로 해석됐다.


과학향기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