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위장막·안개 투시하는 카메라

등록 2009-10-19 19:11

방산업체인 삼성탈레스 관계자들이 19일 오전 경기 용인 남사면 연구소에서, 미국에 이어 두번째로 개발한 투시용 밀리미터파 카메라 ‘미래’를 언곤에 공개해 시범촬영을 하고 있다. 용인/연합뉴스
방산업체인 삼성탈레스 관계자들이 19일 오전 경기 용인 남사면 연구소에서, 미국에 이어 두번째로 개발한 투시용 밀리미터파 카메라 ‘미래’를 언곤에 공개해 시범촬영을 하고 있다. 용인/연합뉴스
밀리미터파 카메라 개발
공항검색·재난구조 활용
물체에서 나오는 미약한 투과성 복사열을 감지해 옷이나 위장막에 감춰진 물체를 투시할 수 있는 ‘밀리미터파 카메라’가 국내 처음으로 개발됐다. 해상도가 낮고 근거리에서만 쓸 수 있지만 공항 검색용이나 군사·재난구조용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방산업체 삼성탈레스(대표 김인수)는 19일 “구름, 안개, 비, 먼지, 연기나 위장막 등 장애물을 통과해 물체를 볼 수 있는 밀리미터파 카메라 ‘미래’(MIRAE)를 국내 기술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밀리미터파는 적외선보다 긴 1~10㎜ 파장대의 전자기파다. 적외선에 견줘 투과성이 강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모든 물체에선 서로 다른 세기의 밀리미터파를 방출하기 때문에 이를 잘 가려 수신하면 장애물 너머의 물체를 식별할 수 있다.

이 카메라의 투시 성능은 5m 거리에서 5㎝ 정도의 물체를 한 점(픽셀)으로 인식하는 수준이다. 개발 책임자인 정민규 삼성탈레스 박사는 “해상도가 그리 높지 않고, 두꺼운 벽을 투시할 순 없지만, 천막이나 옷에 감춘 무기는 충분히 볼 수 있다”며 “화염이나 연기·안개가 심한 곳에서 재난구조용으로도 쓸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개발업체 밀리시스, 서울스탠다드와 전자통신연구원, 광주과학기술원이 함께 참여해 3년 동안 이뤄졌다. 미약한 밀리미터파를 증폭하고 잡신호를 걸러주는 핵심장치 칩(MMIC)은 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했다.

정 박사는 “나라로는 미국에 이은 두 번째 개발”이라며 “제품화를 위한 시험 개발을 앞으로 2년 더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삼성탈레스는 현재 94㎓(기가헤르츠)를 수신하는 성능을 200㎓까지 높이면 해상도가 3배가량 더 좋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