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향기
웃는 얼굴과 자연스러운 자세로 찍은 사진이 실제 성격을 반영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소노마주립대의 로라 나우만 교수팀은 두 집단의 관찰자를 대상으로 실험했다. 한 집단에게는 대학생 123명이 경직된 자세로 무표정한 얼굴을 한 사진을 보여줬고, 다른 집단에게는 같은 대학생이 자연스러운 자세로 웃는 얼굴의 사진을 보여줬다.
관찰자들은 사진 속 대학생을 예전에 본 적이 없었음에도 사진만으로 외향적인지 내향적인지, 얼마나 성실한지, 주변인과 쉽게 친해지는지, 모험을 좋아하는지, 자존감이 강한지, 외로움을 잘 타는지, 종교적 믿음이 강한지, 감정의 기복이 심한지, 정치적 성향은 어떤지 등을 추측했다.
연구팀이 이들이 추측한 결과가 실제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조사한 결과, 웃는 얼굴과 자연스러운 자세로 찍은 사진을 본 집단이 사진의 첫인상만으로 정치적 성향을 제외한 실제 성격을 거의 정확하게 맞췄다. 반면 무표정한 얼굴과 경직된 자세로 찍은 사진을 본 집단은 외향성과 자존감만 흡사하게 추측했다.
과학향기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과학향기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