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향기
음력은 달의 삭망월인 29.5일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이 때문에 일 년의 길이가 365일보다 11일 짧다. 대략 19년에 7번의 윤달을 넣어 길이를 맞추지만 양력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음력에서 윤달을 정하는 규칙은 다양하다. 윤달을 아무렇게나 넣으면 설․추석처럼 중요한 명절이 엉뚱한 계절에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보통 음력 한 달에는 24절기 중 2개가 들어간다. 그런데 1년에 2~3개의 달에는 24절기가 한 번만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이런 달이 윤달의 후보가 된다. 이 중 첫 번째 달 바로 뒤에 윤달을 붙이는 게 보통이다.
여기에 음력 2월에 반드시 춘분이 들어가야 하며, 음력 5월에 하지, 음력 8월에 추분, 음력 11월에 동지가 들어가야 한다는 조건도 붙는다. 그래서 윤달은 정하기도 쉽지 않고 불규칙적이다. 만약 윤달에 태어났다면 똑같은 윤달이 돌아와 생일을 지낼 수 있기까지 무려 10년 정도가 걸릴 수도 있다.
과학향기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