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장기이식용 복제돼지 ‘지노’ 2세 탄생

등록 2010-02-03 10:47

새끼 4마리 중 2마리는 초급성 거부반응 유전자 제어돼
추가 증식 통해 안정적 장기이식 연구용 돼지 공급 가능
국내 첫 장기이식용 복제 무균돼지 '지노(Xeno)'의 2세가 태어났다.

농촌진흥청은 이종(異種)간 장기 이식을 할 경우 나타나는 초급성 거부반응 유전자를 제거한 지노의 정액을 일반 돼지에 인공수정한 결과 지난달 10일 처음으로 4마리의 새끼가 태어났으며 이중 암수 각 1마리에서 초급성 거부반응 유전자가 제어됐음을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지난해 4월 3일 태어난 지노는 국내에서는 처음, 국제적으로는 미국에 이어 두 번째인 장기이식용으로 형질전환된 복제돼지로 손상된 인체 장기를 인간을 대신해 제공하는 연구의 출발점에 위치한 무균돼지다.

하지만 지노의 번식능력이 일반 돼지에 비해 떨어진다면 존재의 가치는 있지만 지속적 연구를 위해서는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농진청은 돼지전염병은 물론 인수 공통 질병의 원인인 세균과 바이러스를 통제할 수 있는 특정 병원균 제어 돈사에서 지노를 특별관리하면서 번식생리적 검정을 실시, 이번에 지노의 정상적인 번식능력과 함께 후대에서도 거부반응이 제어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지노 2세 탄생을 시작으로 농진청은 초급성 거부반응 유전자가 제어된 돼지끼리의 체계적 교배를 통해 2013년부터는 연간 30마리 정도의 부분 장기 이식 연구용 돼지의 안정적 공급할 계획이다.

또 지노와 달리 아예 인간 면역유전자 형질을 전환받은 채 지난 5월 태어나 급성 혈관성이나 세포매개성 거부반응이 제어된 돼지와 이번 지노 후대들과의 교배를 통해 심장이나 신장, 간 등 고형장기 이식이 가능한 다중형질전환 돼지 탄생도 가능할 전망이라고 농진청은 밝혔다.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라승용 원장은 "이종간 장기 이식이 현실적으로 가능하기까지는 인간과 유전자가 맞는 형질전환 복제돼지의 대량 증식과 영장류 이식 실험 등 아직 넘어야할 산이 많다"며 "하지만 이번 지노 2세의 탄생으로 우리나라 바이오 장기 연구가 안정적인 출발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기에 연구진의 지속적인 노력에 애정어린 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신영근 기자 drops@yna.co.kr (수원=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