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국제반도체회로학회 최우수논문상 한국인 차지

등록 2010-02-10 06:42

저전력 무선통신 연구 한정환 박사

미국의 첨단기업에서 일하는 한국인 연구원이 쓴 논문이 국제반도체회로학회(ISSCC)에 의해 최우수 논문으로 선정됐다.

10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미국 퀄컴사(社) 소속 연구원인 한정환(32) 박사는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ISSCC 회의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받았다.

한 박사의 논문은 저전력 무선통신용 수신기에 CMOS(상보적 금속화합물 반도체) 트랜지스터를 이용해 집적회로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일반적인 무선시스템은 일정 `게인(Gainㆍ입력에 대한 출력 비율)'을 얻기 위해 고주파와 저주파 신호를 각각 다른 기기로 증폭시킨다.

그러나 한 박사가 고안한 수신기는 하나의 광대역 증폭기로 고주파와 저주파를 동시에 증폭시켜 전력소모를 늘리지 않고도 높은 게인을 구현할 수 있다.

반도체 전문가들로부터 '저전력 통신을 위한 새로운 수신기 개념을 소개했다'는 평가를 받은 그의 논문에 소개된 수신기는 일반 무선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약 50% 이상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박사는 인하대 전기전자컴퓨터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미시간대와 텍사스대에서 각각 석.박사 학위를 받고 퀄컴에 입사했다.

그의 부친은 삼성전자와 삼성문화재단, 삼성사회봉사단 등에서 사장을 지낸 한용외(62) 현 삼성생명 상담역이다.

▲ISSCC 최우수 논문상을 받은 한정환 박사

김종수 기자 jsking@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