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과학고 2학년생인 김석환군과 남기수 지도교사, 2학년생 이재성·오경석(왼쪽부터)군이 지난해 충남 보령의 화석 산지를 누비며 찾아낸 중생대 초기 곤충 화석들을 들어보이고 있다.
충남 보령 아미산지층서
중생대 초기 107점 발견
중생대 초기 107점 발견
과학고 교사와 학생들이 충남 보령 지역의 화석 산지에서 2억2000만년 전의 중생대 초기(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살았던 곤충 화석을 다량으로 찾아냈다. 백악기와 쥐라기보다 앞선 지질시대인 트라이아스기의 곤충 화석들이 남한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곤충 화석으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대전과학고 2년생인 김석환·오경석·이재성(16)군은 남기수 지도교사와 김종헌 공주대 교수의 지도를 받아 고식물 화석이 주로 발굴되는 충남 보령 아미산지층에서 지난해 8~10월 11차례에 걸쳐 곤충 화석 채집활동을 벌였으며, 이 과정에서 중생대 초기의 유충 화석 94점과 날개 화석 13점을 찾아냈다. 이 일대는 중생대 시기에 커다란 호수가 있던 자리로 추정된다. 이번 조사 활동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과학고 학생의 연구교육(R&E) 프로그램’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새로 채집된 화석에는 소시목, 강도래목, 매미목, 잠자리목, 바퀴벌레목, 하루살이목, 벌목 등이 있다. 남 교사는 “비슷한 곤충 화석들이 나중 시대인 백악기 지층에서 발굴된 바 있으나, 훨씬 더 앞선 중생대 초기 지층에서 나온 것은 처음”이라며 “일부 화석은 날개의 맥을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이전에 발견된 종들과 확연히 다른 날개 구조를 보여 ‘신종’으로 명명될 가능성도 있다”고 기대했다. 국내엔 권위 있는 곤충 화석 학자가 없어, 여름께 일본 학자의 도움을 받아 종 분류를 정밀하게 할 예정이라고 한다.
세 학생은 “아무것도 눈에 뵈지 않는 곳에서 처음으로 곤충 화석을 찾는 일이 무척 힘들었지만 책에서만 봤던 화석 발굴을 직접 해보면서 신나는 경험을 했다”며 “기회가 닿으면 이 분야로 진로를 정하고 싶다”고 말했다. 남 교사는 “아주 작은 곤충 화석을 찾는 일은 길을 걸으며 바늘을 찾는 일처럼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발굴된 화석들의 학술적 가치는 연구가 더 이뤄져야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종헌 교수는 “앞으로 일본·중국의 중생대 곤충 화석들과 비교해 동아시아의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곤충과 생태 환경을 연구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 교사는 “보령 지역의 곤충 화석은 중생대의 쥐라기와 백악기를 거쳐 현재로 이어지는 곤충 진화사의 잃어버린 고리를 이어줄 만한 귀중한 자료”라고 말했다.
이들은 “북한에서도 비슷한 시기의 곤충 화석들이 발견된 바가 있는데, 이번에 남한에서도 비슷한 종류의 화석이 발견돼 중생대 초기에도 우리나라 전역에 많은 곤충이 서식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풀이했다.
대전/글·사진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