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 해로울 가능성·설명 부족
167개 제품 중 88개 위험 내포
167개 제품 중 88개 위험 내포
여성 소비자들이 일상생활품으로 판매되는 나노제품 167개를 조사한 결과 절반이 넘는 88개(52.7%) 제품이 인체와 환경에 위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류됐다.
조사는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단(단장 서상희)의 의뢰로 서울·경기와 부산에 사는 30~40대 이공계 출신 여성 22명이 지난 1월12일부터 지난달 17일까지 한 달가량 인터넷과 상점을 방문해 제품과 설명서, 광고문구 등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는 16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열린 ‘나노기술의 안전한 사용 시스템 구축방안 워크숍’에서 발표됐다.
나노제품들은 우선 설명이 부족했다. 나노라는 개념 정의와 제품에 들어 있는 나노물질의 크기를 명시한 경우는 단 2건(1.2%)에 불과했다. 열개에 두개꼴로 어느 정도 크기의 나노물질을 사용했는지 표시하지 않았다(136건·81.4%).
인체와 환경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을 표시한 경우는 단 한 건뿐이었다. 그나마 이 제품도 일반적인 합성계면활성제의 나노화에 따른 위해성을 지적한 것으로 자사 제품은 이와 다르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언급했을 뿐이다.
반면, 조사 참가자들은 화장품의 나노물질이 어느 깊이까지 침투하는지, 음이온이 호흡기에 들어가면 어떤 영향을 끼칠지, 은나노 코팅이 손상되면 인체에 해를 줄 수 있는지 등 인체에 위해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한 제품이 76개였다. 환경 위해 가능성 6개, 인체와 환경에 모두 유해할 가능성 6개로, 모두 88개 제품이 위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참가자들은 나노기술을 어떻게 적용했는지 설명하지 않은 경우가 대다수(139건·83.2%)였으며, ‘나노 입자를 피부 흡수에 이상적으로 리포솜화해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와 영양 공급을 우수하게 만들어 건조, 주름, 탄력 저하 같은 피부 고민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라는 식의 이해할 수 없는 표현이 많았다고 지적했다.
조사 결과를 발표한 김훈기 서울대 기초교육원 강의교수는 “정부가 나노물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인증제도를 하루빨리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근영 선임기자
이근영 선임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