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헤크(79·왼쪽사진) 네기시 에이이치(75·가운데) 스즈키 아키라(80·오른쪽)
‘탄소-탄소 결합반응’ 고안
항암제·발광물질 제조 기여
항암제·발광물질 제조 기여
2010년 노벨 화학상은 항암제·발광물질 제조 등 제약 및 전자산업의 발달에 기여한 유기화학 방법을 고안해낸 미국 과학자 1명과 일본 과학자 2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노벨위원회는 6일 “고도로 복잡한 유기화합물을 쉽게 만들 수 있는 ‘팔라듐 촉매를 이용한 탄소-탄소 결합형성 짝지음 반응’이라는 합성방법을 고안해 제약과 전자재료 등 산업의 발달에 공헌한 리처드 헤크(79·왼쪽 사진) 미 델라웨어대 명예교수와 네기시 에이이치(75·가운데) 미 퍼듀대 석좌교수, 스즈키 아키라(80·오른쪽) 일본 홋카이도대 석좌교수 등 3명을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꽃의 색깔이나 뱀의 독, 페니실린 등 여러 자연현상들은 유기화합물에 기반하는데, 이를 인공으로 합성하려면 조건이 까다롭고 부산물이 발생하는 등 어려움이 많았다. 헤크는 1972년 유기화합물이 반응성이 떨어져 보통 조건에서는 합성하기 어렵지만 팔라듐을 이용하면 선택적 활성화를 통해 정교한 분자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네기시는 77년 헤크의 제안을 발전시켜 고온·고압 상태가 아닌 상온 등 온화한 조건에서 합성하는 방법을 찾아냈으며, 스즈키는 79년 이들의 성과를 토대로 양산 체계를 완성했다.
항암제인 탁솔, 통증완화제 모르핀, 휴대전화 등에 쓰이는 전도성 고분자 등도 이들이 고안한 방법으로 발명됐다.
장석복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화학과 교수는 “탄소-탄소 결합반응은 분자구조를 형성하거나 분자구조를 바꾸는 중요한 수단으로, 유기화학 분야에서 학문적 발전을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산업적으로 널리 쓰여 파급효과가 증명된 업적”이라고 말했다.
이근영 선임기자, 강태호 기자 ky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