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국 공동조사단 꾸리기로
“3차 발사 내년 봄 이후 가능”
“3차 발사 내년 봄 이후 가능”
지난해 6월10일 발사된 뒤 137초 만에 공중폭발한 나로호의 2차 발사 실패 원인을 밝히기 위해 한국과 러시아 양국 정부 차원의 공동조사단이 구성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9일 한-러 실패조사위원회(FRB)가 지난해 6월14일부터 올해 1월까지 모두 4차례 열려 실패 원인을 두고 여러 가지 가설을 검토했으나 양쪽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당사자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러시아 우주개발회사 흐루니체프를 배제한 공동조사단을 구성하기로 러시아 연방우주청과 합의했다고 밝혔다. 한-러 공동조사단은 두 나라의 중립적인 전문가 각 15명 안팎으로 구성되며, 7월말께 1차 회의를 열 예정이다. 우리 쪽 공동조사단은 나로호 2차 발사 조사위원회(위원장 이인 한국과학기술원 교수)의 구성원을 중심으로 꾸려질 예정이다.
한-러 실패조사위원회의 조사 과정에서는 △2단부 비행종단시스템(FTS·유사시 자폭 장치) 오작동 △1단부 산화제 누설 및 발화 △1·2단 분리용 폭발볼트 오작동 등 3가지 가설이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제시됐으나 논의가 책임소재 규명에 치우쳐 답보상태에 놓였다. 양성광 교과부 전략기술개발관은 “2차 발사 실패 원인을 객관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보완해 3차 발사의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 실패조사위 활동을 잠정 중단하고 공동조사단을 구성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는 실패의 귀책 여부에 상관없이 나로호 3차 발사용 발사체를 제공하도록 돼 있다”며 “원인 규명과 보완 작업에 들어가는 기간을 고려하면 3차 발사는 내년 봄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