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유전자 조절’ 마이크로RNA 작동원리 확인

등록 2011-07-14 08:08

김빛내리(42)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김빛내리(42)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국가과학자’ 김빛내리 교수
국가과학자인 김빛내리(42·사진)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13일 마이크로아르엔에이(miRNA)를 생성하는 효소인 ‘다이서’(Dicer)가 작동하는 원리를 밝혀 유전자 연구와 치료에 새로운 길을 열었다.

이번 연구는 마이크로아르엔에이 생성을 조절해 세포 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연구팀의 논문은 저명 과학저널 <네이처> 14일치에 실렸다. 마이크로아르엔에이는 21~23개의 염기로 구성된 아주 작은 아르엔에이로, 세포 안에서 단백질로 번역되지 않고 남아 다른 유전자를 조절해 단백질 생성을 억제한다. 인간에게는 200종 이상의 마이크로아르엔에이가 존재하며 각각이 생물체의 발생, 성장, 노화, 사멸 등 생명현상에 관여한다. 이근영 선임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