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천(41) 교수
경의대 치의학전문대학원의 이상천(41·사진) 교수 연구팀은 24일 나노입자 구멍에 약물을 넣은 뒤 암세포까지 이동시켜 항암제를 투여할 수 있는 지능형 나노전달체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의 나노전달체는 목표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약물이 방출돼 효율이 떨어지거나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낮은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효소반응을 통해 여러 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 다공성 나노입자 기공에 항암제를 집어넣은 뒤 나노입자를 코팅할 수 있는 ‘천연미네랄 나노껍질(차폐막)’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나노껍질은 혈액 안에서 약물이 방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폐한다. 또 이 나노껍질은 암세포 안의 낮은 페하지수(pH)에 의해 분해되는 성질이 있어 암세포에 다가가면 약물이 방출된다. 재료인 천연 미네랄 인산칼슘은 인체 뼈의 주성분이어서 몸 안에서 쉽게 용해되기 때문에 약물을 전달한 뒤에 잔존해도 인체에 해롭지 않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은 유방암에 걸린 쥐를 이용해 이 나노입자의 항암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했다.
연구팀의 논문은 화학분야 권위지인 <안게반테 헤미>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