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임명신 교수 등 10개국 공동연구팀…‘네이처’ 게재
국내 연구진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팀이 새로운 종류의 우주 폭발 현상을 발견했다.
서울대 임명신(사진·물리천문학부) 교수를 비롯한 한국·미국·스페인 등 10개 나라 34명의 국제공동연구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위성으로 지난해 12월25일 43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 특이한 감마선 폭발(GRB 101225A)을 분석한 결과, 기존에는 없던 새로운 유형의 감마선 폭발임을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우주에서 일어나는 가장 강력한 폭발인 감마선 폭발은 태양보다 수십배 무거운 별이 죽거나, 매우 밀도가 큰 별인 중성자별 두 개가 충돌할 때 일어나는 두 종류만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는 이미 감마선 폭발을 경험한 중성자별이 주변에 있는 별의 내부를 휘젓다 또다시 폭발하는 새로운 형태의 감마선 폭발을 발견했다. 감마선 폭발은 보통 몇초~수백초 동안만 지속되지만 이번에 발견한 감마선 폭발은 30분 이상 지속됐고, 수만도에서 시작해 수천도까지 식어가는 빛의 스펙트럼이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 12월1일치에 실린다.
김민경 기자 salm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