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이것이 봄날의 스트레칭이다람쥐~

등록 2012-03-22 15:52수정 2012-03-22 19:12

외로운 숲속 관찰자의 벗, 다람쥐…침 세수와 몸 단장, 스트레칭으로 번식철 대비
땅속에 굴 파고 번식, 위험 느끼면 나무 구멍으로 새끼 옮겨

봄꽃의 빛깔과 향기를 더욱 그윽하게 하려 꽃샘추위가 오셨습니다. 한겨울의 추위에 비하면 추위라고 할 것도 없지만 이미 마음은 봄으로 발을 디뎠기에 꽤 매섭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꽃샘추위야 잠시 있다 사라질 뿐이고 보면 이제는 바야흐로 다람쥐의 계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숲에서 홀로 지내는 시간이 길다 보니 외롭거나 쓸쓸하다 느낄 때가 많습니다. 그럼에도 그럭저럭 견뎌낼 수 있는 것은 어쩌면 재롱둥이 다람쥐가 동무가 되어주기 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느 결에 다람쥐 하나가 툭 튀어나오더니 지난 해 어딘가에 묻어두었을 알밤을 잘도 찾아내 알뜰하게 껍질을 벗긴 뒤 볼이 터져라 뚝딱 먹어치우는 모습이 참으로 귀엽습니다.

▲ 다람쥐가 지난 해 어딘가에 숨겨두었던 토실토실한 알밤을 찾아내 먹고 있습니다.
▲ 다람쥐가 지난 해 어딘가에 숨겨두었던 토실토실한 알밤을 찾아내 먹고 있습니다.

다람쥐가 이른 아침 눈을 뜨면 가장 먼저 하는 것은 세수입니다. 세수 터로는 돌 위나 한적한 부러진 가지를 정합니다. 세수는 사람이 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먼저 앞 두발을 양손 삼아 얼굴을 위 아래로 쓸어내린 다음 목과 귀 주변을 훔쳐냅니다.

사람의 세수와 다른 점은 물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물 대신 사용하는 것은 자신의 침입니다. 세수를 마치고는 바로 몸단장에 들어갑니다. 등과 발 그리고 꼬리의 털까지 가지런히 쓸어내리며 단장을 합니다.

▲ 다람쥐가 세수를 하는 모습입니다. 물 대신 침을 사용합니다.
▲ 다람쥐가 세수를 하는 모습입니다. 물 대신 침을 사용합니다.

▲ 다람쥐는 기본적으로 땅속 굴에서 새끼를 키우지만 땅속 굴이 마땅치 않으면 새끼를 물고 딱따구리 둥지로 옮겨 키웁니다.

이제 봄입니다. 봄은 다 좋은데 한 가지 은근히 귀찮은 것이 있습니다. 다름 아닌 춘곤증입니다. 숲 속의 다람쥐는 오후의 나른함을 스트레칭으로 극복합니다. 한 번 따라해 보시기 바랍니다. 하나, 둘, 셋, 넷….

▲ 나른한 봄날 오후를 맞은 다람쥐의 스트레칭 모습입니다.

서울시는 총 49종의 생물을 보호야생동식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2000년에 35종을 지정하였고, 2007년에 다시 14종을 추가로 지정한 바 있습니다. 2007년 추가 지정 당시 포유류는 딱 1종만이 추가되었는데 그 종이 바로 다람쥐입니다.

흔한 것으로 알고 있는 다람쥐가 보호야생동식물로 지정된 것에 조금 의아해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야생 고양이의 증가와 질병 등으로 이제는 다람쥐조차 귀해진 것이 안타깝게도 현실입니다.

글·사진/ 김성호 물바람숲 필진, 서남대 생명과학과 교수

김성호 서남대 생명과학과 교수

서남대 생명과학과 교수. <큰오색딱따구리 육아일기><동고비와 함께한 80일><까막딱따구리의 숲>의 저자로서 새가 둥지를 틀고 어린 새들을 키워내는 번식일정 전체를 처음부터 끝까지 인내로 세세히 기록하는 일에 주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지리산과 섬진강에서 만난 생명들의 20년 이야기를 담은 생태에세이 <나의 생명수업>을 펴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