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예산절감 방법? ‘연구자 난장’선 보이겠죠

등록 2012-03-26 20:20수정 2012-03-26 22:32

김도연 국가과학기술위 위원장
김도연 국가과학기술위 위원장
1돌 맞은 김도연 국과위 위원장
‘연구비 중복투자’ 개선 시급해
‘연구개발 페어’ 열어 토론예정
출범 1돌 맞은 국가과학기술위 김도연 위원장

“다음달 초 과학자들을 모아 연구발표 난장을 엽니다. 서로 무슨 연구를 하는지 얘기하다 보면 중복 연구를 줄일 수도 있고, 함께 할 수 있는 일도 찾을 수 있을 겁니다.”

오는 28일 출범 1돌을 맞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국과위)의 김도연(60·사진) 위원장은 25일 “소중한 국민의 세금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 곧 연구개발 예산의 중복투자를 개선하는 것이 국과위의 제1과제”라고 강조했다.

국과위는 범부처의 과학기술 정책 연계 강화·국가 연구개발(R&D) 예산의 효율적 투자 등을 목적으로 지난해 대통령 직속 기관으로 설립됐다. 공학박사 출신인 그는 초대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 울산대 총장을 거쳐 초대 국과위원장을 맡아 밑돌을 놓고 있다.

김 위원장이 말한 ‘난장’은 새달 6일 열리는 ‘연구개발(R&D) 페어’다. 태양광·유전자·로봇 등 3개 분야의 정부 출연연, 대학, 기업연구소 과학자들이 모두 모여 공론을 벌인다. “정부가 태양광 분야만 400억~500억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하고 있어요. 전체 연구원만 500명, 1억 이상 연구비를 쓰는 연구원도 300명에 이릅니다. 서로 얘기하다 보면 소속별·연구소별 벽도 허물 수 있고 잘하는 그룹이 어디인지 가려지면 저절로 중복투자가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국과위가 두번째로 중점을 두는 분야는 중소기업 지원이다. 김 위원장은 “중소기업 연구개발을 지원해야 경쟁력이 강화돼 일자리가 생길 것”이라며 “지난해에도 중소기업 지원 예산을 14%나 늘렸지만 올해는 사람을 직접 쓸 수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더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과위의 최대 현안인 정부 출연연의 법인화 개편과 관련해 “5월 국회에서 (의원들이) 토론을 해줄 것”이라며 낙관론을 폈다. 그러나 지난 2월 임시국회에서 안건 상정조차 안 됐던 출연연 구조개편 문제가 임기 막판의 18대 국회에서 논의될 수 있을지 미지수다. “출연연 문제는 정권과 아무 관계 없고, 새 정부 또는 새 국회에 맡겨야 한다는 주장에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그는 “출연연 연구원들을 만나보면 자율적으로 일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그동안 정부가 연구의 목표를 정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옳았지만 이제는 연구원들이 스스로 하고 싶은 것을 정해야 신명도 나고 과학기술도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 정부 출범 때 통합한 교육부와 과학기술부를 재분리해야 한다는 일부 주장에 대해서 그는 “중등교육은 지자체에 맡기고 대학과 과학기술을 연계하려 한 시도는 좋았지만 정부가 이행을 못했고 국민이 허용하지 않은 측면도 있다”면서도 “하지만 과거로 회귀하는 것에는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사진 국과위 제공

<한겨레 인기기사>

남자는 왜 여자를 의식할 때 ‘멍~’ 해지나
동영상 유출 여성스타, 눈물 대신 ‘맞불 동영상’
외국어대 용인캠퍼스까지 휴강 불똥
여전사 하지원 ‘남주인공 상위’ 뒤집을까
낫 모양의 턱…‘마취 사냥꾼’의 왕 발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