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와일코넬 의대 연구팀 성공
1~2년안에 인간이식 가능할 듯
1~2년안에 인간이식 가능할 듯
전세계 시각장애인들에게 한줄기 빛이 될 만한 연구의 실용화가 머지않았다.
영국 <인디펜던트> 등은 미국 뉴욕 와일코넬 의과대학의 신경과학자 실라 니런버그가 이끄는 연구팀이 망막에서 시신경으로 보내는 뉴런신호 해독에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연구팀은 쥐의 안구에 작은 생체공학 부품을 이식하는 방식으로 상당한 수준의 시력 향상이 이뤄졌고, 인간과 거의 똑같은 원숭이의 뉴런신호 해독도 끝냈다고 밝혔다. 1~2년 안에 인간에 이식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는 뜻이다.
사람이 사물을 보는 메커니즘은 이렇다. 우선 빛이 안구 뒤쪽에 있는 망막의 시세포를 자극하면, 이 세포는 들어온 빛을 생체신호로 바꿔 시신경에 전달한다. 이 신호는 뇌로 이동해 사물을 인식하게 한다. 하지만 시각장애인의 상당수는 시세포에 이상이 생겨 빛을 제대로 된 신호로 변환할 수 없다. 연구진은 빛을 감지하고 이를 시세포가 이해할 수 있는 생체신호로 바꾸는 일종의 변환기를 망막에 이식해 시력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사용했다. 빛이 어떤 신호로 바뀌는지 해독을 끝냈기 때문에 가능한 방법이다.
결과는 대단히 성공적이어서, 시력을 거의 완전하게 잃은 쥐들이 사물의 형상을 어느 정도 구분할 수 있게 됐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인간으로 치면 대화를 나누는 상대방의 얼굴을 구분할 수 있을 정도라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근혜, 장준하 선생 유족과 화해 시도했지만…
■ 박근혜 경선 캠프 벌써 ‘권력·노선투쟁’ 조짐
■ 안철수쪽 페이스북에 ‘진실의 친구들’ 개설
■ 망막 전달신호 해독…시각장애인 ‘빛볼 날’ 성큼
■ 우리나라서 올림픽 폐막식을 했다면 어땠을까?
■ ‘고의패배’ 배드민턴 대표팀 코치진 제명
■ [화보] 연재가 돌아왔어요!
■ 박근혜, 장준하 선생 유족과 화해 시도했지만…
■ 박근혜 경선 캠프 벌써 ‘권력·노선투쟁’ 조짐
■ 안철수쪽 페이스북에 ‘진실의 친구들’ 개설
■ 망막 전달신호 해독…시각장애인 ‘빛볼 날’ 성큼
■ 우리나라서 올림픽 폐막식을 했다면 어땠을까?
■ ‘고의패배’ 배드민턴 대표팀 코치진 제명
■ [화보] 연재가 돌아왔어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