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세계수준연구중심대학(WCU) 교수를 겸임하고 있는 조경재(48·사진) 미국 텍사스주립대 교수 연구팀은 16일 디젤엔진의 배기가스를 절감하는 데 쓰이는 촉매 원료를 비싼 백금 대신 모래에서 얻을 수 있는 화합물로 대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의 논문은 유명 과학저널 <사이언스> 17일치(현지시각)에 실린다.
디젤엔진은 연료효율이 휘발유(가솔린)엔진보다 20~40% 높지만 배기가스의 독성이 강한 것이 단점으로, 이를 줄이기 위한 매연 저감장치에 백금 등 희귀금속을 사용해왔다. 연구팀은 백금을 대체하기 위해 망간-멀라이트 촉매를 개발해 실험실에서 백금보다 45% 효율이 높다는 것을 증명했다. 멀라이트는 지각 속에 가장 많은 실리콘(이산화규소)과 그다음으로 많은 알루미나(산화알루미늄)의 화합물이어서, 값이 싸면서도 효율이 높은 배기가스 저감장치 개발에 새로운 길을 열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하고 있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장준하 가족 월세집 산다”…누리꾼 “국가보훈처 뭐하나”
■ 장준하 선생 타살의혹 보도에 박근혜쪽 ‘설마 발목 잡힐까’
■ 한화 내부문서엔…“김승연 회장은 신의 경지”
■ 박근혜와 악수하던 50대 “내가 김문수 멱살 잡은 사람”
■ “삼환 협력사 ‘줄부도’ 위기…사장들 유서 갖고 다녀”
■ 채시라 “티아라 은정이 물어보는 것 있다면 도울 것”
■ [화보] 장준하 선생을 기억하며
■ “장준하 가족 월세집 산다”…누리꾼 “국가보훈처 뭐하나”
■ 장준하 선생 타살의혹 보도에 박근혜쪽 ‘설마 발목 잡힐까’
■ 한화 내부문서엔…“김승연 회장은 신의 경지”
■ 박근혜와 악수하던 50대 “내가 김문수 멱살 잡은 사람”
■ “삼환 협력사 ‘줄부도’ 위기…사장들 유서 갖고 다녀”
■ 채시라 “티아라 은정이 물어보는 것 있다면 도울 것”
■ [화보] 장준하 선생을 기억하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