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탈적 학술출판의 실태를 알리는 제프리 비올의 블로그.
네이처 등에 잇따라 '공개접근…학술출판 흉내낸 가짜 학술지' 경계 목소리
온라인에서 학술지의 연구 논문을 구독료 없이도 누구나 읽을 수 있게 하자는 ‘공개접근(Open Access: OA)’ 학술운동의 취지를 악용해, 제대로 논문 심사도 하지 않으면서 연구자들한테 논문 투고료를 받아 이윤을 챙기는 이른바 ‘약탈적 학술출판(predatory publisher)’을 조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과학계 안에서 나오고 있다. 공개접근 출판은 논문 저자한테서 받는 출판비용(심사·편집비)만으로 학술지를 운영하며 인터넷과 정보기술(IT)을 활용해 논문을 무료 공개하는 새로운 학술출판의 흐름으로 등장했는데, 최근엔 공개접근 출판을 내세우며 이윤 챙기기에 나서는 '무뉘만 학술지'들이 인터넷 시대의 부산물로 생겨나고 있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의 호주머니를 노리는 ‘약탈적 학술출판’의 실태가 널리 알려진 것은 미국 덴버 콜로라도대학 학술사서인 제프리 비올(Jeffrey Beall) 덕분이었다. 그는 오래 전부터 자신의 블로그에 이런 출판 행태를 고발해왔으며, 최근에는 과학저널 <네이처>와 다른 과학잡지 <더 사이언티스트>에 칼럼을 실어 과학 연구자들한테 온라인의 엉터리 학술저널(bogus journal)에 속지 말라고 경고했다.
그는 공개접근 출판이 지난 10년에 걸쳐 빠르게 늘어 “학술출판 분야에서 거대한 변동이 일어나고 있다”고 전하면서, 공개접근 출판이 이룬 긍정적 효과도 많지만 이를 악용하는 약탈적인 공개접근 출판도 생겨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러 연구자들한테 피해 사례를 문의하는 메일을 받고 있다고 말한 그는 칼럼들에서 약탈적 출판의 수법을 비교적 자세히 소개했다.
“논문 저자한테 돈을 받는 공개접근 출판 모델을 악용해 가짜 학술지를 출판하는 약탈적인 출판인들이 등장했다. 약탈적 출판인들은 속임수를 쓰며 투명하지 않다. 이들은 쉽게 속아넘어가는 연구자들, 특히 학술 커뮤니케이션에 경험이 적은 사람을 노린다. 그들은 진짜 온라인 학술출판의 웹사이트와 아주 비슷하게 웹사이트를 만들고는 논문들도 게재하지만 논문들은 질이 낮고 의심스런 것들이다. 많은 경우에 이들은 사무소가 미국,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에 있는 것처럼 말하지만, 사실은 주로 파키스탄, 인도, 나이지리아에 있다. 상당수의 약탈적 출판인은 연구자한테 스팸 메일을 보내 논문 원고를 투고해달라고 간청하지만 필요한 논문 투고료에 관해서는 얘기하지 않는다. 나중에 논문이 채택되고 출판된 이후에, 저자들한테 요금 청구서가 날아온다. 대개 미화 1800달러 수준이다. 많은 경우에 과학자들은 논문 투고 과정에서 (공개접근 출판의 원칙과도 어긋나게) 자신의 저작권을 양도하라는 요청을 받고서 서명하기 때문에 논문을 철회하고서 다른 학술지에 보낼 엄두를 내지 못한다.”(<네이처>)
“일부 출판업자는 신참 교수나 대학원생을 먹잇감으로 삼아 논문 원고를 투고해달라는 스팸 메일을 보낸다. 진짜 학술출판 웹사이트에서 정보를 수집해, 맞춤형 스팸 메일을 보내는데 연구자들의 이전 연구성과를 칭찬해 관심을 끌면서 연구자들한테 새로운 논문 원고를 투고하라고 요청하곤 한다. 이런 엉터리 학술출판인들은 엄격한 동료심사를 시행한다고 거짓 주장을 하지만 저자 투고료가 손에 들어오자마자 논문을 출판해주는 게 관행이다. 일부는 동의도 받지 않은 채 학술지의 편집위원회에 과학자들의 이름을 올린다.”(<더 사이언티스트>)
그는 자신의 블로그에다 자신이 파악한 약탈적 공개접근 학술저널의 목록을 공개한 데 이어, 지난 8월에는 엉터리 온라인 학술지와 제대로 된 온라인 학술지를 구분하는 식별법을 마련해 전하면서, 이름을 처음 듣는 온라인 학술저널이라면 제대로 운영되는 학술저널인지 아닌지 잘 살펴야 한다고 권고했다. 그가 제시한 약탈적 학술지 식별법을 보면, 엉터리 온라인 학술지는 많은 논문 투고자를 끌어들이기 위해서 상당히 모호하고 넓은 연구 분야나 여러 주제들을 조합한 연구 분야들을 보여주는 저널 이름을 짓거나, 웹사이트에서 문법 오류가 있는 영어를 사용하거나 편집위원의 정보나 연락처 정보가 불확실하거나, 다른 곳에서 출판됐던 논문이나 표절 논문을 싣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엉터리 온라인 학술지의 사무소들이 많이 있는 지역 중 하나로 지목된 인도에서는 일간매체 <더 힌두>도 최근에 이런 약탈적인 온라인 학술출판의 실태와 수법, 그리고 엉터리 공개접근 학술지와 제대로 된 공개접근 학술지를 구분하는 방법 등을 자세히 보도했다.
■ "2012 대선, 과학기술인 말하다: 현장의 목소리로 채우는 과기정책 제안 3차 타운미팅"이 10월27일 대전 카이스트 강당에서 열립니다.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행사 내용과 참가 신청 안내
오철우 한겨레신문사 과학담당 기자, 사이언스온 운영
1990년 한겨레신문사에 입사해 편집부, 사회부, 문화부, 생활과학부 등을 거쳤으며 주로 과학담당 기자로 일했다. <과학의 수사학>, <과학의 언어> 등을 번역했으며, <갈릴레오의 두 우주체제에 관한 대화>를 썼다. 이메일 : cheolwoo@hani.co.kr 트위터 : @wateroo <한겨레 인기기사>
■ [단독] 이시형씨 “큰아버지에 현금 6억 빌려 큰 가방에 넣어와”
■ 김만복 “내가 회담록 작성…NLL 포기, 땅따먹기 발언 없었다”
■ 정문헌 폭로 진위 떠나 봤어도 불법 누설도 불법
■ 악명높은 ‘하얀방’에 끌려가는 사람이 늘어난다
■ 채팅앱으로 꾀어 원조교제 시도한 인면수심 ‘배운 남자들’
■ ‘회피 연아’ 동영상 게시자, 네이버에 승소
■ 송이 따던 이명박 대통령 8촌 친척 나흘 째 실종
| |
| |
오철우 한겨레신문사 과학담당 기자, 사이언스온 운영
1990년 한겨레신문사에 입사해 편집부, 사회부, 문화부, 생활과학부 등을 거쳤으며 주로 과학담당 기자로 일했다. <과학의 수사학>, <과학의 언어> 등을 번역했으며, <갈릴레오의 두 우주체제에 관한 대화>를 썼다. 이메일 : cheolwoo@hani.co.kr 트위터 : @wateroo <한겨레 인기기사>
■ [단독] 이시형씨 “큰아버지에 현금 6억 빌려 큰 가방에 넣어와”
■ 김만복 “내가 회담록 작성…NLL 포기, 땅따먹기 발언 없었다”
■ 정문헌 폭로 진위 떠나 봤어도 불법 누설도 불법
■ 악명높은 ‘하얀방’에 끌려가는 사람이 늘어난다
■ 채팅앱으로 꾀어 원조교제 시도한 인면수심 ‘배운 남자들’
■ ‘회피 연아’ 동영상 게시자, 네이버에 승소
■ 송이 따던 이명박 대통령 8촌 친척 나흘 째 실종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