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 법정에 걸린 상징문안. 한겨레 자료사진
| |
제118조 ①국민경제의 발전과 이를 위한 과학진흥에 관련되는 중요한 정책수립에 관하여 국무회의의 심의에 앞서 대통령의 자문에 응하기 위하여 경제·과학심의회의를 둔다.
②경제·과학심의회의는 대통령이 주재한다. [1972년 헌법]
제123조 ①국민경제의 발전과 이를 위한 과학기술은 창달·진흥되어야 한다.
②대통령은 경제·과학기술의 창달·진흥을 위하여 필요한 자문기구를 둘 수 있다. [1987년 헌법]
127조 ① 국가는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 및 인력의 개발을 통하여 국민경제의 발전에 노력하여야 한다.
③대통령은 제1항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문기구를 둘 수 있다. 헌법상의 규정을 바탕으로 정부는 본격적인 근대화 정책 추진에 과학기술이 주요 요소라고 인식하고,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필두로 하여 개발 국가 시대를 열었으며, 외국 과학기술의 도입과 모방이 본격화되었다. 산업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1960년대부터 ‘과학기술 중장기계획’이 지속적으로 수립되어 왔다. 5년 단위의 중기계획으로는 제1차 기술진흥 5개년 계획(1962∼1966), 제2차 과학기술진흥 5개년 계획(1967∼1971), 제3차 과학기술개발 5개년 계획(1972∼1976), 제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과학기술부문계획(1977∼1981), 제5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 과학기술부문계획(1982∼1986), 제6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 과학기술부문계획(1987∼1991), 제7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 과학기술부문계획(1992∼1996), 신경제 5개년 계획: 기술개발전략부문계획(1993∼1997), 과학기술혁신 5개년 계획(1997∼2002), 과학기술혁신 5개년 수정계획(2000∼2002), 과학기술기본계획(2002∼2006), 과학기술기본계획(2003∼2007), 과학기술기본계획(2008-2012)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계획을 뒷받침하기 위해 중앙 부처로서 과학기술처에서 과학기술부, 나아가 부총리급 과학기술부로 역할을 강화하고, 한편으로는 다음과 같은 과학기술 관련 법령들이 제정되어 경제 성장의 견인차가 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국가 주도의 과학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과 인력 양성 그리고 민간 연구기관 지원 등으로 외형적인 성장은 이루어졌지만 과학기술의 질적인 성장과 사회적 역할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는 다음의 지적은 주목할 만하다. “절대 다수의 과학기술자들은 산업 현장, 연구 현장이나 교육 현장에서 각자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만 열중했을 뿐 -물론 이 부분을 마냥 잘못했다고 탓할 수만은 없지만- 책임감을 갖고 국가사회를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철학적 고뇌와 진지한 노력은 게을리해왔다.” 과학기술에 대한 헌법의 인식 전환 이러한 국가주도형 과학기술 정책은 과학기술 관련 조직 내에 위계적, 권위적 문화를 조성시키게 되어 과학기술 영역의 다양성과 창의성이 상실되었다. 특히 과학의 대중화 운동, 과학기술에 대한 대중의 지혜가 고사하고, 여러 가지 형태의 과학기술 영역의 참여운동이 도입되었지만 기존의 권위적인 과학기술 문화와의 충돌로 인해 뿌리내리지 못한 채 흘러오고 있다. 1963년 헌법부터 1987년 민주화운동으로 만들어진 헌법에 이르기까지 우리 헌법은 국가주의를 극복하지 못했지만, 지난 20년 간 4번의 문민정부의 경험과 자연스런 세대 교체로 인해 과학기술의 사회적 의미를 조명할 여건은 마련되었다고 본다. 과학기술의 역할을 경제 성장의 도구로 한정해서는 안 되며, 자연과 사회의 재발견과 사회 진보를 위한 과학기술의 긍정적 역할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성찰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개헌론자들은 “과학기술과 사회의 역동성”을 통한 민주주의와 사회의 지속가능성의 양립 가능성에 대한 고찰은 하지 못한 상태에서 무조건 헌법에 경제 조항을 두려고 하고 있다. 지난 18대 국회에서 2년 간 국회에서 국내외 헌법전문가 110명이 참여하여 만든 개헌안인 “국민과 함께하는 헌법 이야기”에서도 경제 조항의 성격에 대한 비판과 대안이 나왔다. 그러나 법률에 의한 경제의 규제에만 관심을 두고, 경제성장을 위한 행정부에 의한 성과 중심의 단기적 처방으로 인한 정부의 실패를 염려하고 있는 선에서 그치고 있다. 그리고 과학기술에 조항에 대한 어떤 변화도 살펴보기 어렵다.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경제 성장을 위한 과학기술 = 연구개발 예산 투입’이라는 아주 좁은 의미의 과학과 기술을 해방시켜, 자연에 대한 이해와 공존, 사회의 다양성과 기술의 접목, 나아가 저소득층과 저개발국의 빈곤 타파를 위한 과학기술의 적정화를 통해 과학기술이 갖는 의미를 극대화시켜야 할 때가 도래했다고 본다. 이처럼 과학기술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갖게 되면, 헌법의 경제 조항에 과학기술을 묶어 두어서는 안 된다. 헌법의 가장 큰 가치가 인권보장과 민주주의의 고취에 있다면 과학기술이 이러한 목적에 기여하도록 새롭게 역할 부여를 해야 한다. 21세기 과학기술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기에 과학기술 조항을 경제에 예속시키기보다는 차라리 기본권에 포함시킴으로써 그 역할과 방향에 대한 다양성을 열어주는 것이 한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지 않을까 한다. <한겨레 인기기사>
■ 여의도 칼부림 피의자 “정규직 전환 안돼…”
■ 이외수, 야권 단일화 가교역할 맡나
■ ‘친정’ 간 신경민, 작심하고 MBC 질타
■ 천영우 “남북정상회담 국정원 기록물 봤다”…불법열람 논란
■ 구글, 독도주소 지우고 동해도 ‘일본해’ 표기
■ [특파원 칼럼] 안철수 현상과 하시모토 현상
■ [화보] 이번 경기는 ‘우리 힘 한데 모아’ 입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