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요구르트병 만드는 플라스틱으로 줄기세포 분화 조절

등록 2012-11-08 21:57

김동성 교수
김동성 교수
포항공대 김동성 교수 연구팀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김동성 교수 연구팀은 8일 요구르트병이나 가전제품 케이스를 만드는 데 쓰이는 폴리스티렌을 이용해 줄기세포 분화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기판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줄기세포는 우리 몸의 기관이나 조직을 이루는 210가지의 세포로 변화(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녀 주목을 받고 있지만 줄기세포를 증식·분화시키는 데 쓰이는 화학적 방법은 비효율적이고 고비용인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폴리스티렌 기판에 지름 200나노미터(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미터)의 나노기둥과 나노구멍 구조물들을 대량으로 성형·복제해, 나노기둥은 골세포의 분화 효율을, 나노구멍은 지방세포로의 분화 효율을 높이는 결과를 얻었다.

연구팀은 기술을 이용해 줄기세포의 증식과 분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세포배양 용기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현대차 비정규직 23m 철탑 농성장 동숙해보니…
“대통령실장과 박근혜 선대본부장이 ‘김재철 지켜라’ 전화”
암4기 항암치료 중에도 수능 응시 ‘투혼’
“박근혜 후보님, 대학기자도 기자입니다”
연비과장 5% 넘은 차 확인…지경부는 모델 공개 거부
[논쟁] 술집·식당 금연정책, 어떻게 봐야 하나
[화보] 월드스타 박지성도 수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