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빛고을에서 빛 연구 어떨까 -만평

등록 2012-11-25 14:32

꽉 선생의 일기 (144)
□ 다른 보기를 들어 보자. 내가 아는 제주도 과학인은 제주도 조랑말을 갖고 실험하였다. 제주도 특성을 잘 살린 실험이었고, 덕분에 연구비를 많이 받았다. 이 이야기를 들은 대구 과학인이 이렇게 말하였다. 우리는 사과를 갖고 실험해야 되나? 하여튼 과학인은 나라 특성 또는 지역 특성을 살려서 연구해 봄직하다.

정민석 아주대학교 교수, 의과대학 해부학
안철수씨처럼 의과대학을 졸업한 다음에 의사를 포기하고 과학인이 된 해부학 선생. 과학인은 의사보다 돈을 덜 벌지만, 훨씬 즐겁기 때문이다. 영상해부학의 연구 결과를 논문으로 쓰는 것도 즐기고, 과학인의 속사정을 만화로 그리는 것도 즐긴다. 이메일 : dissect@ajou.ac.kr

<한겨레 인기기사>

“나는 교회, 아내는 절, 딸은 대형교회에 보내”며 표밭 다지는 정치인
‘자랑스런 동아일보’는 이렇게 추락했다
박원순 당선 일등공신, 이번엔?
새누리 “구태에 막힌 실험정치” 평가절하
20시20분 굳은 표정으로 “후보직 내려놓겠다”…예상 못한 선언에 눈물·탄식
아시아발 환율전쟁 시작되는가
[화보] 후보사퇴 안철수 ‘눈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