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요법’ 말기암환자 40% “오히려 삶의 질 떨어져”
현대의학으로는 더 이상 치료할 수 없는 말기암환자 10명 가운데 4명 정도가 각종 건강식품, 기공 등과 같은 보완대체요법을 쓰고 있지만 생존율에는 큰 차이가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오히려 보완대체요법을 쓴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견줘 인지기능 악화나 불면증이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윤영호 서울대암병원 암통합케어센터 교수팀은 2005~2006년 전국 12개 병원에서 말기암으로 판정 받은 48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의 42%(202명)가 보완대체요법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이들이 받은 보완대체요법 중에는 약초, 향기요법, 비타민, 건강기능식품 등과 같은 생물학적 요법이 차지하는 비율이 84.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요가와 명상 등 심신요법이 18.3%, 한약이나 침술과 같은 대체요법이 12.9%로 뒤를 이었다.
하지만 보완대체요법을 받는 환자 집단과 받지 않는 집단으로 나눠 말기암 판정을 받은 뒤부터 생존일을 비교한 결과 보완대체요법을 받은 집단은 평균 76일, 받지 않는 집단은 평균 67일로 두 집단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문제는 대체요법을 받은 집단에서 오히려 삶의 질은 악화됐다는 점이다. 한달 동안 암 환자들의 삶의 질을 조사한 결과 보완대체요법을 받은 환자 집단은 인지기능은 평균 11.6점, 피로도는 9.9점 악화된 반면, 그렇지 않은 집단은 각각 1.3점, 1점 악화됐을 뿐이었다. 불면증의 경우 요법을 받은 환자 집단은 16.1점 악화됐는데, 그렇지 않은 집단은 4.8점 개선됐다. 연구팀은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환자들이 더 심한 수준의 심리적 고통을 겪는다는 단서가 될 뿐 아니라 이 때문에 이들의 삶의 질이 감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윤 교수는 “말기암환자에게 생존율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 못하고 오히려 삶의 질을 떨어뜨린 각종 보완대체요법보다는 가능한 빠른 시기에 완화의료를 통해 전인적인 돌봄을 우선적으로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암 분야 국제학술지인 <종양 연보> 2월호에 발표됐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우리나라 짜장면의 발상지
■ 러시아에 떨어진 것은 ‘운석우’가 아니었다
■ MB 마지막 연설도 자화자찬 “모든 일에 최선다했다”
■ “WBC B조, 한국과 네덜란드 2라운드 진출할 것”
■ 의족 스프린터, 속속 드러나는 ‘여자친구 살인의 정황’
■ 우리나라 짜장면의 발상지
■ 러시아에 떨어진 것은 ‘운석우’가 아니었다
■ MB 마지막 연설도 자화자찬 “모든 일에 최선다했다”
■ “WBC B조, 한국과 네덜란드 2라운드 진출할 것”
■ 의족 스프린터, 속속 드러나는 ‘여자친구 살인의 정황’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