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자료
베이비트리 바로가기
심한 기침, 누런 콧물과 가래, 쌕쌕거릴때는 어떻게?
심한 기침, 누런 콧물과 가래, 쌕쌕거릴때는 어떻게?
증상은 감기보다 심하지만, 감기만큼 흔한 질병이 모세기관지염(세기관지염)입니다. 이 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세기관지에 걸리는 호흡기 질환으로 늦가을부터 초겨울까지, 그리고 봄에 많이 유행합니다. 주로 2세 이하의 아기들이 많이 걸리고 청진으로 쌕쌕거림을 들을 수 있으면 심하면 엄마가 가슴에 귀로도 들립니다. 세기관지염은 천식과 증상이 비슷해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고 간혹 천식과 함께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어릴 때 자주 세기관지염에 걸릴 경우 나중에 천식이 생길 수도 있으므로 치료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합니다.
일단 세기관지염에 걸리면 2~3일간은 증세가 심해지기도 합니다. 따라서 아기가 모세기관지염에 걸렸을 때는 감기에 걸렸을 때보다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세기관지염에 걸리면 기침을 심하게 하고, 누런 가래가 끓고, 콧물도 나며, 쌕쌕거리고, 숨을 가쁘게 쉽니다. 미열이 있지만 열이 높이 올라가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심해지면 숨이 차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합니다. 세기관지염에 걸렸다고 판단될 때는 대개 통원 치료로도 잘 낫지만, 숨이 많이 차거나 음식을 못 먹거나 폐렴이 의심될 때는 입원 치료를 해야 한다.
감기와 마찬가지로 특효약이 없으므로 그때그때 증세에 따라 대증요법입니다. 아기가 잘 못 먹으면 탈수 방지를 위해 전해질 용액을 먹이고, 열이 심할 때는 해열제를 복용시킵니다. 다음은 집에서 도움이 되는 방법들입니다.
수분 공급과 안정이 중요하다
아기가 세기관지염일 때 엄마가 집에서 해줘야 할 일은 무엇보다 편안하게 쉬도록 배려하고 물을 많이 먹이는 것입니다. 세기관지염을 비롯한 호흡기 질환에 걸려 아기가 아프다면 무엇보다 수분을 많이 공급해야 합니다. 가래가 끈적끈적할 때 물기가 많으면 잘 녹습니다. 또한 아기가 편히 쉴 수 있도록 도와주고 가능한 외출을 삼가야 합니다. 아기가 불안정하고 피로한 상태에서는 아무리 좋은 치료를 한다고 해도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없습니다.
가습기를 틀어준다
세기관지염에 걸리면 가습기 김이 얼굴에 떨어지게 틀어주는 경우가 많은데, 가습기 김을 얼굴에 직접 쐬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또한 너무 습해져도 기침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세관지염에는 초음파 가습기가 따뜻한 온습기보다 적합합니다. 단, 밤에는 가습기를 아기 쪽이 아닌 방향으로 돌려서 틀어 밤새 아기가 축축해지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아기가 젖은 채로 밤을 지내게 되면 체온이 떨어져 병이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 가습기를 사용할 때는 물을 매일 갈아주고 청소를 매일 하고 집안의 환기를 자주 시켜줘야 합니다.
기침을 억지로 줄이지 않는다
의사의 특별한 지시에 따라 기침을 반드시 줄여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굳이 기침 줄이는 치료를 하지 않습니다. 우리 몸 안에 들어온 나쁜 균을 내보내기 위해서 가래가 끓고 기침을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병이 나으면 기침은 자연히 멎게 마련입니다. 그 전에 억지로 기침을 줄일 경우 임시적으로는 아기가 편안해 할지 모르지만, 나쁜 균을 못 내보내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병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병이 호전되어 저절로 멎기까지 기다리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글 김우경
<한겨레 인기기사>
■ 초등생, 학원 차에 옷 낀 채 끌려가다 사망
■ 박 대통령, 국회에 불만 표시 “안보위협 상황…김장수 없어 안타까워”
■ 구리로 옷을 만든다?
■ 이재용, 영훈초에 컴퓨터 40대 기증…아들은 재단 같은 영훈국제중 합격
■ “김병관, 천안함 사건 다음날 골프장 출입”
| |
■ 초등생, 학원 차에 옷 낀 채 끌려가다 사망
■ 박 대통령, 국회에 불만 표시 “안보위협 상황…김장수 없어 안타까워”
■ 구리로 옷을 만든다?
■ 이재용, 영훈초에 컴퓨터 40대 기증…아들은 재단 같은 영훈국제중 합격
■ “김병관, 천안함 사건 다음날 골프장 출입”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