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노른자-껍질 구조의 신소재 대량합성기술 개발

등록 2013-04-24 21:13

강윤찬 교수
강윤찬 교수
건국대 화학공학과 강윤찬 교수 연구팀은 24일 가정용 초음파 가습기를 활용해 노른자-껍질 구조 신소재를 합성하는 새로운 공정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의 논문은 신소재 분야 학술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 속표지로 선정됐으며, <스몰>에 실렸다.

노른자-껍질 구조는 공 안에 움직일 수 있는 또다른 작은 공이 들어 있는 구조로, 리튬이차전지, 연료전지, 약물전달, 촉매, 센서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런 구조체를 만들려면 기능성 분말 표면을 지지체로 코팅한 뒤 다시 기능성 재료를 덧씌운 다음 지지체를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해 최소 며칠이 걸리고 소량만 합성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가정용 가습기 40대를 조합해 자체제작한 대용량 물방울 발생장치를 이용해 몇 초 만에 노른자-껍질 구조의 소재를 합성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했다. 핵심기술은 원하는 기능성 소재를 설탕과 함께 물에 녹여 가습기로 분무한 뒤 뿌려지는 미세 물방울을 고온처리하는 데 있다. 고온에서 설탕의 탄소성분이 숯으로 변하고 결국에는 숯이 타버리면서 기능성 소재만 남게 되는 순간적인 점화와 소화 과정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면서 노른자-껍질 구조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일차적으로 차세대 리튬이차전지 개발에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외골수 아베’ 전범 외조부가 뿌리
통신비 아끼려…‘유심 단독개통’ 급증
군 ‘동성애 처벌법’ 여군에도 적용 추진“
‘정년’ 있으면 뭐하나 10대그룹 근속연수 9.36년
[화보] 노원병 최후의 승자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