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두현 서울대 의과학과 교수
국내 연구진이 치사율이 70%에 이르는 패혈증 발병 과정을 규명해 생존율을 높일 단서를 찾았다. 패혈증은 상처나 염증 부위에 있던 바이러스나 세균이 혈액을 타고 퍼져서 온몸에 염증을 일으켜 세계에서 하루에 1500명 이상이 사망하는 질환이지만 정확한 발생 과정도 밝혀지지 않고 특별한 치료제도 없는 상태다.
서울대 의과학과 정두현(사진) 교수 연구팀은 21일 세포 안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단백질 ‘엔오디2’(NOD2)가 단순 감염 때 인체를 보호하던 것과 달리 패혈증이 발생한 경우 오히려 패혈증을 악화시키는 과정을 밝혀내 논문을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의 면역분야 온라인 학술지 <플로스 병원체>(PLos Pathogens)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NOD2 신호전달을 억제하면 패혈증 증상을 억제하고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동물실험을 한 결과 NOD2가 제거된 생쥐의 경우 패혈증 유도시 열흘 동안 살아있는 반면 NOD2가 존재하는 정상생쥐는 이틀 안에 사망했다. 또 연구팀은 NOD2가 혈액응고와 관련된 염증성 물질 ‘시5에이’(C5a)의 생성을 촉진해 패혈증을 악화시킨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돌아온 김구라 “세련된 독설 하려 더 많이 노력할 것”
■ 가정 평화 위한 우리 부부의 선언 “싸워도 각방은 안돼”
■ 막장으로 치닫는 ‘일베’…도대체 왜?
■ [화보] 사진으로 보는 초강력 토네이도의 공습
■ [화보] 노무현 전 대통령 4주기 추모 문화제
■ 돌아온 김구라 “세련된 독설 하려 더 많이 노력할 것”
■ 가정 평화 위한 우리 부부의 선언 “싸워도 각방은 안돼”
■ 막장으로 치닫는 ‘일베’…도대체 왜?
■ [화보] 사진으로 보는 초강력 토네이도의 공습
■ [화보] 노무현 전 대통령 4주기 추모 문화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