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엽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이상엽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국내 연구진이 미생물을 이용해 비식용 바이오매스에서 휘발유(가솔린)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해 논문을 과학저널 <네이처> 30일(한국시각)치에 발표했다.
이상엽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특훈교수 연구팀은 29일 대장균 세포의 유전자를 조작하고 식물에서 찾아낸 새로운 효소를 결합해 포도당에서 가솔린을 이루는 짧은 길이의 탄화수소 화합물을 만들어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미생물을 이용해 디젤을 생산하는 기술은 2010년 미국 연구진이 <사이언스>에 발표한 적이 있지만 가솔린을 생산하기는 처음이다.
가솔린은 탄소(C) 수가 4~12개로 이뤄진 사슬모양의 탄화수소 화합물로 탄소 수가 13~17개인 디젤과 달리 생산기술 확보가 쉽지 않다. 특히 디젤을 가솔린으로 만들려면 복잡한 크래킹 과정을 거쳐야 해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는 점에서 직접적인 가솔린 생산은 효율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바이오 연료뿐만 아니라 계면활성제, 윤활유 등에 이용할 수 있는 알코올과 바이오 디젤도 생산할 수 있어 기존 석유 기반의 화학산업을 바이오 기반 사업으로 대체하는 바탕이 될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하고 있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