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미국 출신의 제임스 로스먼(63), 랜디 셰크먼(65) 교수, 독일 출신의 토마스 쥐트호프(58) 교수
세포내 생명물질 이동 원리 규명
당뇨·대사질환 등 연구·치료 길
당뇨·대사질환 등 연구·치료 길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미국 출신의 제임스 로스먼(63)과 랜디 셰크먼(65) 교수, 독일 출신의 토마스 쥐트호프(58) 교수 등 3명에게 돌아갔다. 이들은 세포 안에서 생명의 유지에 꼭 필요한 물질들의 이동 기전을 밝혀낸 공로를 인정받았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는 7일(현지시각) ‘세포의 물질 이동 기전을 규명한 공로가 인정된다’며 로스먼 교수 등 3명에게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다고 발표했다고 <에이피>(AP) 통신 등이 보도했다. 로스먼 교수와 셰크먼 교수는 각각 미국 예일대 화학과와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분자세포생물학과에서 일하고 있으며, 쥐트호프 교수는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에 재직 중이다.
이들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등 생명 유지에 꼭 필요한 핵심 물질이 세포 안에서 필요한 곳으로 정확하게 이동하는 원리를 밝혀냈다고 노벨위원회는 밝혔다. 이들이 밝혀낸 원리는 세포 안에 있는 구조물이면서 거품 모양으로 생긴 소포가 각종 호르몬, 효소, 신경전달물질 등을 옮기는 구실을 해 세포의 활동에 필요한 대사 작용과 면역 작용 등을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반대로 혈당 조절이 되지 않거나 면역에 문제가 생기면서 당뇨나 각종 면역질환이 생길 수 있으며, 이 원리를 바탕으로 이들 질환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노벨위원회는 로스먼 교수 등의 연구 성과를 거론하면서 1979~1993년에 발표된 논문을 꼽았다. 길게는 34년 전 연구 성과가 이번에 인정된 셈이다.
강상욱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교수는 “이번에 노벨상을 받은 이들의 연구 성과는 세포생물학의 기초 연구뿐 아니라, 퇴행성뇌질환·면역질환·뼈질환·당뇨 등 대사 질환 등 거의 모든 질환의 원인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에 인용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노벨상 시상식은 노벨상 창시자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인 12월10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다. 부문별 수상자들에게 주어지는 상금은 800만크로네(약 14억3000만원)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