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민 아주대 에너지시스템학과 교수
국내 연구진이 집이나 직장에서 스마트폰 등으로 간단한 혈액검사를 할 수 있는 휴대용 혈액분석기에 쓰일 수 있는 핵심적인 현상을 발견했다.
김주민(사진) 아주대 에너지시스템학과 교수 연구팀은 13일 마이크로(100만분의 1) 입자들이 초저농도 디옥시리보핵산(디엔에이) 용액 안에서 정렬하는 현상을 발견해 휴대용 혈액분석기나 고성능 세포분석기 개발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팀 논문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0일치 온라인판에 실렸다.
스마트폰으로 간단한 혈액검사를 하려면 미세한 채널을 따라 흐르는 혈액 속의 세포 수를 세거나 종류별로 분류할 수 있는 미세 유체소자 개발이 필요하다. 이때 혈액 등 분석 대상이 채널 가운데로 흐르지 않으면 분석 정확도가 떨어져 이를 해결하기 위한 부가적인 구조가 있어야 하는데, 연구팀의 발견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 또 연구팀은 단위시간에 채널을 흐르는 디엔에이 용액량이 기존에 쓰이던 합성고분자 용액보다 10배가량 많아 고속 처리에 유리하다고 밝혔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