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연구원(키스트) 뇌과학연구소의 허은미 박사
허은미 박사 논문 ‘네이처’에 실려
한국과학기술연구원(키스트) 뇌과학연구소의 허은미(사진) 박사 연구팀이 포유류의 말초신경계 재생을 유도하는 작동원리를 발견했다고 연구원 쪽이 30일 밝혔다. 중추신경 재생 연구에 실마리를 제공했다고 평가되는 이번 성과는 미국 존스홉킨스 의대 연구팀과 함께 연구한 논문으로 정리돼 유명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의 28일(현지시각)치에 실렸다.
손가락이 잘리거나 허벅지에 큰 상처가 나더라도 말초신경은 손상 정도와 부위에 따라 재생이 가능한데 중추신경계는 재생되지 않는다. 연구팀은 말초신경이 손상되면 ‘피아이3케이’(PI3K) 인산화 단백질과 ‘지에스케이3’(GSK3) 인산화 단백질의 활성이 변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에스엠에이디1’(Smad1) 유전자가 발현됨으로써 신경이 재생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말초신경을 재생하는 인자들이 일련의 신호 전달 과정을 통해 서로 연결돼 있고 어느 한 인자라도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신경 재생에 치명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말초신경계에서 일어나는 신경 재생 과정이 중추신경계에서도 일어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과정을 제대로 이해하면 중추신경계 재생도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