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춘택 교수
국내 연구팀이 무선 전력전송에서 최장거리 신기록을 세웠다. 카이스트는 17일 이 학교 원자력·양자공학과 임춘택 교수 연구팀이 5m 떨어진 곳까지 209W의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무선 전력전송 기술은 전동 칫솔이나 스마트폰 충전과 같이 가까운 거리에서는 상용화돼 있으나 1m가 넘는 장거리에서는 아직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임 교수의 기술을 적용하면 5m 거리에서 전선을 연결하지 않고도 스마트폰 40대를 동시에 충전하거나 선풍기 5대를 돌릴 수 있으며, 초대형 엘이디(LED) 텔레비전도 켤 수 있다.
장거리 무선 전력전송 기술은 2007년 미국 엠아이티(MIT)에서 입력코일·송신코일·수신코일·부하코일 등 4개의 코일을 사용하는 ‘자기 결합 공진방식’(CMRS)으로 2.1m거리에서 60W 전력 전송 기록 이후 진전된 연구결과는 나오지 않은 상태라고 카이스트가 전했다.
임 교수팀은 코일을 2개만 쓰는 ‘다이폴 코일 공진방식’(DCRS)으로 고효율 전력전송에 성공해, 장거리 무선 전력전송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임 교수는 “기존 기술에 비해 전송 거리는 2배 이상, 전송 전력은 3배 이상으로 높여 장거리 무선 전력전송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게 됐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지난달 국제ㅁ전기전자공학회의 <전력전자> 저널에 실렸다.
글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사진 카이스트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