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낚시질하는 ‘바다 악마’ 심해아귀 동영상 첫 촬영

등록 2014-11-27 16:42수정 2014-11-27 17:23

살아있는 상태로 처음 촬영된 심해아귀의 모습. 발광 ‘낚시대‘가 눈길을 끈다. 사진=MBARI
살아있는 상태로 처음 촬영된 심해아귀의 모습. 발광 ‘낚시대‘가 눈길을 끈다. 사진=MBARI
발광 미생물 안테나로 먹이 유인, 거대한 입속 날카로운 이로 덥썩
대표적 희귀 심해어 자연상태서 첫 촬영, 수산물 아귀완 친척 뻘
조홍섭 기자의 물바람숲
몸의 절반이 넘는 거대한 입과 한 번 물면 결코 놓아주지 않는 길고 날카로운 이….

 

심해어 하면 먼저 떠오르는 이런 모습의 물고기가 있다. 바로 심해아귀이다. 우리가 겨울철 찜이나 탕으로 즐겨 먹는 아귀나 황아귀와는 먼 친척이지만 과가 다르다.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잡히는 아귀의 모습. 낚시를 하는 안테나는 동일하다. 사진=P. Clarke, 위키미디어 코먼스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잡히는 아귀의 모습. 낚시를 하는 안테나는 동일하다. 사진=P. Clarke, 위키미디어 코먼스

그러나 심해아귀와 아귀의 공통점은 모두 낚시질을 하는 물고기란 점이다. 등지느러미의 첫 번째 가시가 안테나 모양으로 길게 뻗어 있고 그 끄트머리에 살점이 붙어있다. 이를 흔들거리면 먹이인 줄 알고 달려든 물고기나 오징어를 큰 입으로 잡아먹는다. 영어 이름은 '낚시꾼 물고기'이고 별명은 '검은 바다 악마'이다.

 

칠흙 같은 깊은 바다에 사는 심해아귀의 낚시대는 특이하다. 미끼처럼 보이는 살점에 공생 박테리아가 살아 빛을 발산한다. 이 빛에 이끌린 먹이를 잡아먹는다.

미국 캘리포니아의 몬터레이 만 수족관 연구소(MBARI) 과학자들이 수중무인탐사기(ROV)를 바다에 내리고 있다. 사진=MBARI
미국 캘리포니아의 몬터레이 만 수족관 연구소(MBARI) 과학자들이 수중무인탐사기(ROV)를 바다에 내리고 있다. 사진=MBARI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열대바다의 3000m 심해에서 발견된 적이 있는 이 물고기는 매우 드물고 살아있는 모습이 관찰된 적도 없다. 그러나 최근 미국 연구자가 처음으로 이 물고기가 헤엄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의 몬터레이 만 수족관 연구소(MBARI)의 선임 과학자인 브루스 로빈슨은 지난 17일 수중무인탐사기(ROV)를 이용해 몬터레이 해양 협곡을 조사하던 중 수심 580m에서 심해아귀를 발견했다.

 

검은 빛깔의 이 심해어는 가슴과 등지느러미를 부드럽게 파동치듯 움직이며 제자리에서 헤엄치고 있었다. 커다란 입에는 바늘처럼 가늘고 긴 이가 드러나 있었는데, 입 왼쪽의 이 하나는 부러진 상태였다. 로빈슨은 “부러진 이가 재생될지는 불확실하다”고 밝혔다.

심해아귀. 이빨 하나가 부러져 늘어져 있다. 사진=MBARI
심해아귀. 이빨 하나가 부러져 늘어져 있다. 사진=MBARI
 

이 심해어의 뭉툭한 몸매로 보아 빠르게 헤엄치지 않고 잠복했다 먹이를 유인해 잡아먹는 것 같다고 로빈슨은 말했다. 볼 수 없는 눈은 매우 작았고, 대신 몸에 난 작고 흰 반점을 통해 먹이의 접근을 알아채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에 목격된 심해아귀는 길이 9㎝인 암컷이다. 심해아귀의 암컷은 18㎝까지 자라며 수컷은 3㎝에 그친다.

 

수컷은 거의 기생충처럼 암컷에 부착해 살아간다. 암컷에 들러붙은 수컷은 스스로 먹이를 찾지도 못하며 몸을 결합시켜 부속물처럼 바뀐다. 수컷이 하는 유일한 일은 암컷이 산란을 할 때 정자를 제공하는 것뿐이다.

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해 바다 밑바닥을 느리게 이동하는 아귀의 모습. 사진=NOAA
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해 바다 밑바닥을 느리게 이동하는 아귀의 모습. 사진=NOAA
 

우리나라에서 주요한 수산물인 아귀와 황아귀는 서해와 남해, 동중국해 등의 심해아귀보다 얕은 수심에서 서식하며 주로 바다 밑바닥에서 가슴지느러미를 발처럼 이용해 이동한다. (▶ 관련 기사: 바다의 악마’ 아귀는 음흉한 낚시꾼)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