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3A호 발사장면
태양전지판과 다운링크 안테나도 정상 작동
한국의 다섯번째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3A호가 26일 새벽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동남쪽으로 1800㎞ 떨어진 야스니 발사장에서 발사됐다. 위성은 이날 오후 대전의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위성정보연구센터 지상국과 첫 교신이 이뤄져 성공적으로 궤도에 안착한 것으로 확인됐다.
아리랑3A호의 발사 대행을 맡은 코스모트라스사는 “한국의 아리랑 3A호를 러시아 드네프르 발사체가 애초 예정대로 이날 새벽 3시8분 45초(한국시각 오전 7시8분 45초) 야스니 발사장의 지하발사대(사일로)에서 발사됐다”고 밝혔다.
아리랑3A호는 이날 옛 소련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SS-18을 개조한 드네프르 발사체에 실려 야스니 발사장 지하발사대에서 컴컴한 남쪽 하늘을 향해 발사됐다. 아리랑3A호는 발사 뒤 14분49초쯤 아라비아반도 남부 537㎞ 상공에서 드네프르 발사체와 분리됐다. 아리랑3A호를 실은 드네프르 발사체는 이날 발사 예정시각 지하발사대(사일로)에서 압축 가스에 밀려 올라온 뒤 9초 뒤 1단 로켓 엔진이 점화되면서 남쪽을 향해 날아갔다.
아리랑3A호는 지상국에 첫 신호를 보내는데도 성공했다. 아리랑 3A호는 오전 3시39분 33초께 남극 노르웨이의 케이샛(KSAT)사가 운영하는 트롤기지에 통신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첫 신호를 보내왔다. 이어 발사 뒤 1시간 27분 뒤인 오전 4시35분께는 노르웨이 스발바르섬에 있는 기지국과의 교신도 이뤄졌다. 이륙 뒤 5시간 56분 뒤인 오전 9시4분(한국시각 오후 1시4분)에 대전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연구센터 지상국과의 첫 교신도 성공했다. 태양전지판과 다운링크 안테나(관측 정보를 지상으로 내려보내는 안테나) 등이 제대로 펼쳐져 정해진 궤도에서 정상작동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아리랑 3A호는 애초 예정대로 이날 새벽 3시8분 우주로 향했다. 아리랑 3A호는 로켓에서 분리된 직후 태양을 향해 자세를 잡은 뒤 위성에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전지판을 펼쳤다.
아리랑3A호는 앞서 이달 19일 야스니 발사장의 발사조립시험동(AITB)에서 30㎞ 떨어진 지하발사대로 옮겨졌다. 이달 21일 드네프르 발사체와 최종 조립을 마친 뒤 이날 새벽까지 위성과 발사체 상태를 점검해 왔다. 발사 하루전인 25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실제 발사 상황과 동일한 리허설을 실시했고 발사 30분전 발사대 주변에 남은 인력을 철수한 뒤 최종 발사 결정이 내려졌다.
이날 발사는 별도의 카운트 다운 없이 새벽 3시8분 46초에 맞춰 발사 15분 전부터 자동 발사시퀀스에 돌입하면서 시작됐다.
아리랑 3A호는 지름 2m, 높이 3.8m, 태양전지판 폈을 때 폭 6.8m에 무게는 1.1t으로, 4년간 지구 주변 528㎞ 상공을 하루 15번씩 돌며 밤과 낮 하루 2차례씩 지상관측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아리랑3A호에는 다목적 실용위성 가운데 최초로 적외선 관측 센서가 장착됐다. 이 센서는 땅위의 차량이나 건물 등에서 내뿜는 3.3~5.2㎛의 중적외선을 감지해 도시 열섬 효과나 산불 발생, 밤에 움직이는 구름 등을 관측할 수 있다.
또 아리랑3호보다 더 정밀한 해상도 0.55m급 전자광학카메라도 장착됐다. 이는 가로세로 0.55m 물체를 한점으로 인식하는 수준으로, 지상에 서있는 사람을 인식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러시아/공동취재단,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아리랑3A호를 탑재한 러시아 드네프르 발사체의 발사 전 모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