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아리랑3A호’ 발사 성공…도시 열섬·산불 등 관측

등록 2015-03-26 20:12

한국의 다섯번째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3A호’가 26일 오전 러시아에서 발사돼 궤도 안착에 성공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이날 “아리랑3A호가 모스크바에서 동남쪽으로 1800㎞ 떨어진 야스니 발사장에서 오전 7시8분45초(현지시각 새벽 3시8분45초)에 발사됐다. 위성은 오후 1시4분께 대전의 항우연 위성정보연구센터 지상국과 첫 교신이 이뤄져 성공적으로 궤도에 안착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아리랑3A호는 앞으로 4년간 528㎞ 상공을 하루 15번씩 돌며 밤과 낮 하루 2차례씩 지상관측을 한다. 아리랑3A호에는 적외선 관측 센서가 장착돼 도시 열섬 효과나 산불 발생, 밤에 움직이는 구름 등을 관측할 수 있다. 이로써 한국은 아리랑 2·3·5호기와 함께 낮과 밤, 악천후에 상관없이 지상의 상황을 내려다볼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게 됐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