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우주정거장, 지구 10만번 돌다

등록 2016-05-18 11:45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 위키피디아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 위키피디아
1998년 발사 이후 16년반만에…화성 10번 왕복거리

400㎞ 고도에서 지구를 돌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이 지구 궤도를 10만번째 돌았다. 10만번째로 돈 시간은 지난 16일 오후 1시35분부터 3시10분(한국시간 기준)까지다. 1998년 11월20일 첫번째 모듈을 발사한 이후 16년 반만이다. 지금까지 운행한 거리는 약 41억8400만㎞. 화성을 10번 왕복하거나, 해왕성까지 갈 수 있는 거리이다. 우주정거장은 시속 2만8000㎞로 90분마다 1번씩 지구를 돈다. 이 90분동안 우주진은 16번의 일출과 일몰을 경험한다.

222명 방문, 1922번 연구실험, 1200개 결과물 발표

2000년 빌 셰퍼드 등 3명이 ISS에 첫 탑승한 이후 지금까지 15개국에서 222명이 이곳을 방문했다. 한국인으로선 이소연씨가 유일하게 2008년 11일 동안 머물렀다. 이들은 그동안 1922번의 연구실험 활동을 벌였으며, 이 가운데 1200여건의 연구결과물이 발표됐다.

우주정거장엔 현재 사령관 티모시 코프라(미국)를 비롯해 6명의 우주인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 가운데 코프라를 비롯한 네 명은 다음달 지구로 돌아온다.

우주정거장에서 본 지구, 그리고 또띠아와 물을 마시고 있는 티모시 코프라 사령관. 유튜브 갈무리
우주정거장에서 본 지구, 그리고 또띠아와 물을 마시고 있는 티모시 코프라 사령관. 유튜브 갈무리

빵 대신 또띠아로 버거 만들어 먹어

미 항공우주국(NASA)은 10만번의 지구궤도 공전을 기념해 스냅챗(Snapchat)을 통해 우주정거장의 일상을 공개했다. 공개한 동영상을 보면 우주정거장 밖으로 흰 구름에 뒤덮인 푸른별 지구가 보이고, 사령관 코프라가 또띠아를 먹고 물을 마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물방울을 공중에 띄워 입으로 들이마시는 장면이 눈길을 끈다. 우주정거장의 우주인들은 빵보다 또띠아를 선호한다고 한다. 무중력 상태에서 빵은 잘 부스러지기 때문. 그래서 우주인들은 빵 대신 또띠아를 이용해 버거나 타코 등을 만들어 먹는다.

2개의 모듈로 활동을 시작한 ISS는 계속 모듈이 덧붙여지면서 현재 15개 모듈을 갖추고 있다. 크기도 축구경기장만하다. 우주정거장은 오는 2024년까지 임무를 지속한다.

곽노필 기자 nopil@hani.co.kr

▶ 바로가기: 곽노필의 미래창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