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우주정거장, 지구 10만번 돌다

등록 2016-05-18 11:45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 위키피디아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 위키피디아
1998년 발사 이후 16년반만에…화성 10번 왕복거리

400㎞ 고도에서 지구를 돌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이 지구 궤도를 10만번째 돌았다. 10만번째로 돈 시간은 지난 16일 오후 1시35분부터 3시10분(한국시간 기준)까지다. 1998년 11월20일 첫번째 모듈을 발사한 이후 16년 반만이다. 지금까지 운행한 거리는 약 41억8400만㎞. 화성을 10번 왕복하거나, 해왕성까지 갈 수 있는 거리이다. 우주정거장은 시속 2만8000㎞로 90분마다 1번씩 지구를 돈다. 이 90분동안 우주진은 16번의 일출과 일몰을 경험한다.

222명 방문, 1922번 연구실험, 1200개 결과물 발표

2000년 빌 셰퍼드 등 3명이 ISS에 첫 탑승한 이후 지금까지 15개국에서 222명이 이곳을 방문했다. 한국인으로선 이소연씨가 유일하게 2008년 11일 동안 머물렀다. 이들은 그동안 1922번의 연구실험 활동을 벌였으며, 이 가운데 1200여건의 연구결과물이 발표됐다.

우주정거장엔 현재 사령관 티모시 코프라(미국)를 비롯해 6명의 우주인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 가운데 코프라를 비롯한 네 명은 다음달 지구로 돌아온다.

우주정거장에서 본 지구, 그리고 또띠아와 물을 마시고 있는 티모시 코프라 사령관. 유튜브 갈무리
우주정거장에서 본 지구, 그리고 또띠아와 물을 마시고 있는 티모시 코프라 사령관. 유튜브 갈무리

빵 대신 또띠아로 버거 만들어 먹어

미 항공우주국(NASA)은 10만번의 지구궤도 공전을 기념해 스냅챗(Snapchat)을 통해 우주정거장의 일상을 공개했다. 공개한 동영상을 보면 우주정거장 밖으로 흰 구름에 뒤덮인 푸른별 지구가 보이고, 사령관 코프라가 또띠아를 먹고 물을 마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물방울을 공중에 띄워 입으로 들이마시는 장면이 눈길을 끈다. 우주정거장의 우주인들은 빵보다 또띠아를 선호한다고 한다. 무중력 상태에서 빵은 잘 부스러지기 때문. 그래서 우주인들은 빵 대신 또띠아를 이용해 버거나 타코 등을 만들어 먹는다.

2개의 모듈로 활동을 시작한 ISS는 계속 모듈이 덧붙여지면서 현재 15개 모듈을 갖추고 있다. 크기도 축구경기장만하다. 우주정거장은 오는 2024년까지 임무를 지속한다.

곽노필 기자 nopil@hani.co.kr

▶ 바로가기: 곽노필의 미래창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고도 100km서 2분간 달 중력 비행 성공 1.

고도 100km서 2분간 달 중력 비행 성공

툭 튀어나온 사람의 귀, 물고기 ‘아가미 유전자’서 진화했다 2.

툭 튀어나온 사람의 귀, 물고기 ‘아가미 유전자’서 진화했다

한국천문학회, 머스크의 스타링크 겨냥 “하늘은 조용해야” 3.

한국천문학회, 머스크의 스타링크 겨냥 “하늘은 조용해야”

초속 9km ‘초음속 강풍’ 부는 외계행성 발견 4.

초속 9km ‘초음속 강풍’ 부는 외계행성 발견

생명의 원료 가득한 500m 크기 ‘돌무더기’ 소행성 베누 5.

생명의 원료 가득한 500m 크기 ‘돌무더기’ 소행성 베누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