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고고도 태양광 무인기 18.5㎞ 성층권 비행 성공

등록 2016-08-25 12:00수정 2016-08-25 12:00

세계에서 세번째…관제사 통제권 밖 활용성 높아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이 개발한 고고도 태양광 무인기(EAV-3·사진)가 18.5㎞ 성층권 비행에 성공했다. 태양광 무인기의 성층권 비행은 세계에서 세번째로, 이 고도는 관제사 통제권 밖이어서 활용성이 높다.

항우연은 25일 “대기가 희박한 상공에서 태양 에너지만으로 비행하는 고고도 태양광 무인기가 지난해 고도 14.12㎞ 도달에 이어 4㎞ 더 높은 18.5㎞의 성층권 고도에서 90분 동안 비행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고고도 태양광 무인기는 실시간 정밀지상관측, 통신 중계, 기상 관측 등 인공위성을 보완하는 등의 임무를 좀더 저렴하고 친환경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선진국이 앞다퉈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는 미래 기술 분야다. 18㎞ 이상의 고도는 지상 관제사의 지시와 정해진 항로 없이 운용자의 계획에 따라 비행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또 성층권은 공기밀도와 온도가 매우 낮아 일반 항공기가 비행하기 어렵지만 바람이 약하고 구름이 없어 태양광을 동력원으로 활용해 장기 체공하기에 유리하다.

고고도 태양광 무인기가 18.5㎞ 상공에서 촬영한 전남 소록도 일대 전경.
고고도 태양광 무인기가 18.5㎞ 상공에서 촬영한 전남 소록도 일대 전경.
태양광 무인기로 성층권을 비행한 경우는 영국과 미국에 이어 세번째다. 영국은 키네틱사의 ‘제퍼가’ 2주 이상을 비행했으며, 미국의 에어로바이론먼트사가 개발한 ‘헬리오스’는 단기간 성층권 비행을 했다. 항우연은 “구글과 페이스북, 러시아, 중국 등이 태양광 장기체공 무인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나 아직 성층권 비행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경쟁이 치열한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구글은 최대 5년 동안 고도 20㎞의 성층권에서 장기체공할 수 있는 태양광 무인기를 개발중이며, 페이스북은 성층권에서 태양전지와 이차전지로 최장 5년 동안 체공하며 무선 인터넷 망을 구축해 오지에 무선통신(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퀼라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유럽에어버스 디에스도 영국 키네틱사의 제피르 프로그램을 인수해 저궤도 위성의 일부 임무를 대체하기 위한 고고도 장기체공 전기동력무인기를 개발중이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초속 9km ‘초음속 강풍’ 부는 외계행성 발견 1.

초속 9km ‘초음속 강풍’ 부는 외계행성 발견

조깅에 스트레칭 더하면 ‘금상첨화’…최적 시간은 ‘4분’ 2.

조깅에 스트레칭 더하면 ‘금상첨화’…최적 시간은 ‘4분’

테슬라 전기차, 7년째 우주에…소행성인 줄 알았더니 3.

테슬라 전기차, 7년째 우주에…소행성인 줄 알았더니

한국천문학회, 머스크의 스타링크 겨냥 “하늘은 조용해야” 4.

한국천문학회, 머스크의 스타링크 겨냥 “하늘은 조용해야”

시속 1377km, 첫 민간 개발 초음속 여객기 시험비행 성공 5.

시속 1377km, 첫 민간 개발 초음속 여객기 시험비행 성공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