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인류 고유의 최고 발명품은 단위

등록 2016-09-01 19:11수정 2016-09-01 19:34

잠깐 독서
별걸 다 재는 단위 이야기
호시다 타다히코 지음, 허강 옮김/어바웃어북·1만5000원

내 키는 1.7m이고, 몸무게는 70㎏이다. 42.195㎞를 4시간 반 만에 뛰며, 체온은 36.5℃이다. 내 피부는 몇 ㎡이며, 몸통은 몇 L일까? 오늘 음식 섭취량은 권장 ㎉를 넘었을까?(리터는 ‘ℓ’이 아니라 ‘L’로 해야 한다고 지은이는 주장한다.)

우리는 온몸에 단위를 치렁치렁 달고 산다. 키는 내 친구보다 한 뼘 크고 몸무게는 쌀 한 섬보다 조금 가볍다 할 수 있지만, 정확한 수치와 단위로 말하는 데 더 익숙하다. <별걸 다 재는 단위 이야기>의 작가 호시다 타다히코에게 단위는 인류의 역사와 과학지식이 녹아 있는 ‘인류 최고의 발명품’이다.

1875년 미터(m)와 킬로그램(㎏), 초(s)가 세계적으로 통일된 단위로 도입된 이래 7개의 단위와 20개의 접두어로 세계 모든 양을 표시할 수 있게 됐다. 책에는 미터와 초처럼 친숙한 단위에서부터 과학시간에 한번쯤 들었을 법한 단위에 이르기까지 100여 가지가 소개돼 있다. 하지만 호시다는 이것이 과학의 다는 아니라고 말한다. 하여 과학지식이 75%쯤 담긴 ‘18K짜리’ 책을 썼다. 나머지는 역사, 문화, 사회, 예술, 경제, 사람 이야기로 채운다. 왜 마라톤 길이가 42.195㎞가 됐는지, 요일의 차례는 어떻게 정해졌는지, 200mL 종이컵과 1.8L 페트병, 350mL 캔음료가 왜 각각 7·60·12온스인지, 항공기 마일리지의 마일이 육상 마일이 아니라 해상 마일(해리)인 연유는 무엇인지 등 호기심 당기는 질문들을 곳곳에 숨겨놓았다. ‘열이면 일곱은 진저리 치는’ 과학을 재밌게 가르치려는 일본 중학교 교사의 비책이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초속 9km ‘초음속 강풍’ 부는 외계행성 발견 1.

초속 9km ‘초음속 강풍’ 부는 외계행성 발견

조깅에 스트레칭 더하면 ‘금상첨화’…최적 시간은 ‘4분’ 2.

조깅에 스트레칭 더하면 ‘금상첨화’…최적 시간은 ‘4분’

테슬라 전기차, 7년째 우주에…소행성인 줄 알았더니 3.

테슬라 전기차, 7년째 우주에…소행성인 줄 알았더니

한국천문학회, 머스크의 스타링크 겨냥 “하늘은 조용해야” 4.

한국천문학회, 머스크의 스타링크 겨냥 “하늘은 조용해야”

시속 1377km, 첫 민간 개발 초음속 여객기 시험비행 성공 5.

시속 1377km, 첫 민간 개발 초음속 여객기 시험비행 성공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