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크리스틴 스튜어트가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썼다

등록 2017-01-20 10:44수정 2017-01-20 16:04

당신이 알고 있는 바로 그 크리스틴 스튜어트다
크리스틴 스튜어트. 크리에이티브 코먼즈 제공
크리스틴 스튜어트. 크리에이티브 코먼즈 제공
헐리우드의 유명 배우가 인공지능을 이용해 예술작품을 그려내는 시도를 논문으로 펴내 화제가 되고 있다. 그 주인공은 영화 <트와일라잇> 등으로 유명세를 탄 크리스틴 스튜어트다.

크리스틴은 최근 발표한 논문에서 자신의 첫 감독 데뷔작인 단편영화 <컴 스윔(Come Swim)>의 장면을 인공지능을 이용해 예술작품으로 변형시키는 작업을 벌였다. 논문에는 그래픽 소프트웨어 업체인 어도비의 연구원 버틱 조시가 제1저자로, 크리스틴이 2저자, <컴 스윔>의 제작사인 스타라이트 스튜디오의 프로듀서인 데이비드 샤피로가 3저자로 참여했다. 논문 제목은 ‘<컴 스윔>에서 신경망 스타일의 변형을 활용해 인상주의 표현하기’(Bringing Impressionism to Life with Neural Style Transfer in Come Swim)다.

스타일 변형은 반 고흐 등과 같은 원하는 풍의 예술 작품을 머신러닝(기계학습)으로 학습시킨 뒤 보통의 사진을 예술 작품처럼 바꿔주는 기술이다.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s)을 활용한다. 크리스틴이 참여한 이 논문 역시 합성곱 신경망을 활용한 스타일 변형을 적용했다. 이 기술을 영화에 어떻게 접목시켰느냐가 이 논문의 의미다.

저자들은 <컴 스윔>의 주요 장면을 인상주의 풍의 예술작품으로 바꿔 그 그림을 보면 다시 영화를 연상시킬 수 있도록 하려 했다고 밝혔다. 음성원 기자 esw@hani.co.kr

신경망 변환을 사용해 이미지를 변형시킨 사례. 왼쪽-영화의 한 장면, 중간-영화 속에서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예술작품 이미지, 오른쪽-영화 장면에 예술작품 스타일을 적용해 새로 생성한 이미지  출처: https://arxiv.org/pdf/1701.04928v1.pdf
신경망 변환을 사용해 이미지를 변형시킨 사례. 왼쪽-영화의 한 장면, 중간-영화 속에서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예술작품 이미지, 오른쪽-영화 장면에 예술작품 스타일을 적용해 새로 생성한 이미지 출처: https://arxiv.org/pdf/1701.04928v1.pdf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