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샴쌍둥이’ 박쥐가 발견됐다

등록 2017-08-06 10:59수정 2017-08-06 12:46

브라질 연구팀 학술지 보고…1969년·2015년 이어 세번째
“Y자형 척추, 목뼈부터 갈라져” 귀중한 샘플로 해부 않기로
브라질 남부에서 수집되어 학계에 보고된 결합 쌍둥이 박쥐. Y자형 척추로 두 개체로 갈라졌다.   <해부·생물조직·발생학> 제공
브라질 남부에서 수집되어 학계에 보고된 결합 쌍둥이 박쥐. Y자형 척추로 두 개체로 갈라졌다. <해부·생물조직·발생학> 제공
몸은 하나인데 머리는 두 개인 ‘샴 쌍둥이' 박쥐가 브라질에서 보고됐다.

신체 일부가 결합한 쌍둥이 박쥐는 1969년과 2015년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로 학계에 보고됐다. 이번 사례는 브라질 북리우데자네이루 주립대학교의 마르첼로 노귀에이라 박사 등 연구진이 학술지 <해부·생물조직·발생학>에 보고하면서 알려졌다.

인간을 포함한 생태계에서 몸은 하나인데 머리가 두 개가 되는 쌍둥이는 수정란이 너무 늦게 분리되면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정된 후 4~5일 수정란이 분리되면 완전한 형태의 쌍둥이(일란성 쌍둥이)가 생긴다. 그러나 13~15일까지 분열이 일어나지 않은 채 수정란이 부분적으로 분리되면 몸의 일부가 결합된다. 이런 형태의 쌍둥이를 ‘결합 쌍둥이(쌍태아)'(conjoined twin)라고 부르는데, 가장 잘 알려진 형태로 ‘샴쌍둥이'(Siamese twin)가 있다.

이 쌍둥이 박쥐는 2001년 리우데자네이루 농촌연방대학교 유문암연구소에 기증됐다. 당시 이 학교는 쌍둥이 박쥐에 대해 주목하지 않았지만, 노귀에이라 연구팀이 망고나무 저장고 주변에서 발견해 분석을 시작했다. 기증 당시 정확한 기록이 없어, 이 쌍둥이 박쥐가 사산 후 수집된 개체인지, 출생 직후 죽은 것인지 여부는 확실치 않다.

결합 쌍둥이 박쥐의 엑스선 촬영 사진. 목뼈에서 갈라져 동일한 크기의 두개골로 이어진다.  <해부·생물조직·발생학> 제공
결합 쌍둥이 박쥐의 엑스선 촬영 사진. 목뼈에서 갈라져 동일한 크기의 두개골로 이어진다. <해부·생물조직·발생학> 제공
노귀에이라 연구팀이 엑스선 촬영을 한 결과, 쌍둥이 박쥐의 골격은 와이( Y)자 모양의 척추를 통해 두 개체로 분리되고 있었다. 두개골은 동일한 크기로 좌우에 위치했다. 일반적인 인간 샴쌍둥이와 달리 경추(목뼈) 상부만 복제됐다는 게 특징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초음파 촬영을 통해 두 개의 심장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신열대과일박쥐 속에 속하는 박쥐로 추정된다. 브라질 남부에는 이 속의 박쥐가 총 4종 있는데, 그중에 짙은갈색과일먹는박쥐(Artibeus obscurus)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박쥐는 보통 번식 때 한 마리만 낳는다. 번식 개체 수가 많지 않아 일반적인 쌍둥이도 잘 발견되지 않는다. 과학 매체 <라이브 사이언스>는 미국 일리노이대학의 박쥐 연구자 다니엘 어반의 경험울 소개하면서, 그가 5년 동안 쌍둥이 박쥐를 본 것은 한두 차례에 지나지 않는다고 전했다.

결합 쌍둥이 박쥐를 만나는 건 더 어렵다. 스콧 피터슨 사우스다코타 주립대 미생물학 교수는 그렇다고 결합 쌍둥이 박쥐가 다른 포유류에 비해 드물게 나타난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이 매체에 밝혔다. 결합 쌍둥이가 태어났다고 하더라도 이내 숨졌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이 박쥐에 대해 해부 등 ‘침습적 연구'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침습적 연구는 주사, 해부 등을 통해 동물의 신체를 훼손하는 연구다. 이 연구에 참여한 다니엘 어반은 “매우 희귀하고 귀중한 샘플이다. 한번 침습적 연구를 하면 그것으로 끝이므로, 사체를 훼손하지 않고 연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터넷에서 검색 가능한 논문 정보 DOI: 10.1111/ahe.12271)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100년 전에 상상한 2025년…얼마나 현실이 됐을까 1.

100년 전에 상상한 2025년…얼마나 현실이 됐을까

반헌법 행위에도 관용이 필요할까 2.

반헌법 행위에도 관용이 필요할까

머스크와 베이조스, 같은 날 신형 로켓 발사 ‘자존심 대결’ 3.

머스크와 베이조스, 같은 날 신형 로켓 발사 ‘자존심 대결’

2025년 생활 바꿀 혁신 기술 10가지…소 트림 감소제도 있다 4.

2025년 생활 바꿀 혁신 기술 10가지…소 트림 감소제도 있다

‘기적의 비만 치료제’는 시작일 뿐…올해의 과학기술 5가지 5.

‘기적의 비만 치료제’는 시작일 뿐…올해의 과학기술 5가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