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학자 린 마일스는 수화 연구를 위해 오랑우탄 찬텍과 8년 넘게 함께 살았다. 마일스가 찬텍에게 우유를 먹이고 있다. 채터누가 테네시대학 제공
말하는 오랑우탄 ‘찬텍’이 39살의 나이로 숨졌다.
<비비시> 등 세계 주요 언론 매체는 미국 조지아주의 애틀란타동물원에서 찬텍이 죽었다고 8일 보도했다. 앞서 애틀란타동물원은 보도자료를 내 “2017년 8월7일 39살 수컷 오랑우탄 찬텍이 숨졌다는 사실을 애도하며 전한다. 정확한 사망 원인은 나오지 않았으나, 찬텍은 심장병 치료를 받고 있었다”고 밝혔다.
채터누가 테네시대학의 사택에서 8년 넘게 살면서 수화를 배운 찬텍은 도구를 제작·사용하고, 식당에 가는 길을 기억했다. 거울실험을 통과하고 수화를 구사한 첫 오랑우탄이었다. 국내에서는 찬텍과 함께 살며 수화를 가르친 린 마일스 찬텍재단 대표와의 인터뷰가 <한겨레>에 처음 소개되고, 교육방송 ‘지식채널e’ 등에 방영되면서 널리 알려졌다. (관련기사:
“어디가 아프니?” “마음”)
찬텍은 1977년 12월17일 애틀란타 여키스국립영장류센터에서 태어난 ‘실험동물’(수마트라-보르네오오랑우탄 잡종)이었다. 이듬해 채터누가 테네시대학으로 옮겨져 인류학자인 린 마일스와 함께 살면서 수화를 배웠다. 기저귀를 차고 쇼핑을 하는 등 인간처럼 살았다. 1980년대 중반까지 찬텍이 구사하는 단어는 150여개에 이르렀다. 거울을 통해 자신을 인식하는지를 살펴보는 거울실험에서도 찬텍은 스스로를 인식함으로써 오랑우탄에게도 자의식이 있음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러나 1986년 2월 대학 도서관에서 한 여학생이 공격당한 사건이 논란이 됐고, 찬텍은 여키스영장류센터로 소환됐다가 1997년 애틀란타동물원에 이송돼 지금까지 갇혀 살아왔다. 마일스가 동물원을 방문하면 찬텍은 수화로 ‘엄마, 차 타고 집에 가자’라고 말하곤 했다.
마일스와 헤어져 애틀랜타 동물원에서 살고 있는 찬텍의 모습. ‘대학에 간 유인원’ 갈무리
찬텍은 거울실험을 통해 자신을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된 동물 중 하나다. 2015년 <한겨레>가 벌인 ‘오랑우탄 거울실험 프로젝트’에서 서울대공원 오랑우탄 보람이가 거울 앞에 앉아 모자를 뒤짚어쓰는 행동을 하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린 마일스는 2015년 <한겨레>가 벌인 ‘비인간인격체 프로젝트-오랑우탄 거울실험’ 인터뷰에서 “‘네가 누구냐’는 질문에 찬텍은 ‘오랑우탄 사람’(Orangutan Person)이라고 말했다. 찬텍은 수백가지 수화를 했고, 감정을 표현했으며, 좋아하는 색깔을 선택했다”며 찬텍을 다른 동물과 함께 동물원에 가두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찬텍이 수화를 배우던 1970~80년대는 많은 유인원들이 동물 언어 연구를 위해 인간과 함께 길러지던 때다. 침팬지 ‘워쇼’, ‘님 침스키’, 고릴라 ‘코코’ 등이 있다. 마일스는 인간 문화를 익힌 유인원들이 동물원에서 감금·전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과거 경험에 적합한 주거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동물들이 전시 대상으로 타자화되는 동물원과 달리 동물 스스로 행위 주체가 되어 선택을 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찬텍은 최근까지 심장질환으로 고통을 겪었다고 애틀란타동물원은 밝혔다. 동물원은 “영장류 중 세계 최초로 깨어있는 상태에서 심장초음파 검사를 하는 데 지난해 성공했다”며 “찬텍에게 심장초음파와 혈압, 채혈 검사 등을 시행하면서 저나트륨 식이요법으로 찬텍의 건강을 관리했다”고 밝혔다. 심장병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유인원의 주요 사망 원인이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